Abstract
Eight of the individuals had a unilateral S-RAD TKA and Multi-Radius TKA ($Scorpio^{TM}$ PS, Howmedica-Osteonics, Inc.). The instrument were used Peak Motion Measurement $System^{TM}$, $MYOPAC^{TM}$EMG System, KIN-COM $III^{TM}$ System. The Figure 3 shows that the average time for the S-RAD group to accomplish the sit-to-stand movement was 1.59 s, which was 0.19 s less than the M-RAD group (p= 0.033). In Figure 5, the S-RAD TKA group tended to have $7^{\Omega}{\cdot}S^{-1}$ less trunk flexion velocity than that of the M-RAD group (p= 0.058). The Figure 6 shows that the S-RAD TKA limb tended to have less ADD displacement (p = 0.071) than that of the M-RAD TKA limb. We failed to fin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ABD and ADD displacements between the S-RAD and M-RAD N-TKA limbs (p= 0.128 and 0.457, respectively). The VM of the S-RAD TKA limb demonstrated significant less RMS EMG than that of the M-RAD TKA limb from $60^{\Omega}$ to $15^{\Omega}$ of knee flexion (p 0.05). The VL of the S-RAD TKA limb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 less RMS EMG than that of the M-RAD TKA limb from $60^{\Omega}$ to $45^{\Omega}$ of knee flexion (p 0.05). Similar to the VM and VL, the RF of the S-RAD TKA limb showed less RMS EMG than that of the M-RAD TKA limb from $60^{\Omega}$ to $30^{\Omega}$ of knee flexion (p 0.05).
단축범위 무릎인공관절 수술자와 다축범위 무릎인공관절 수술자를 대상으로 앉았다 일어나는 동안 운동학적 및 운동역학적 요인들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은 다축범위 수술자 집단이 단축범위 수술자 집단보다 0.19초(p= 0.033) 빠르게 나타났다. 최대상체 굴곡각도는 다축범위 수술자 집단이 단축범위 수술자집단 보다 $10^{\circ}(p=0.014)$정도 크게 나타났다. 상체굴곡 각속도는 다축범위 수술자 집단이 단축범위 수술자 집단보다 $7^{\Omega}{\cdot}S^{-1}$(p= 0.058)빠르게 나타났다. 단축범위 수술자 집단과 다축범위 수술자 집단의 ADD와 ABD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대퇴사두근의 근전도분석은 내측광근은 무릎굴곡각 $60^{\Omega}-15^{\Omega}$(p<0.05)에서 단축범위 수술자 집단 근전도 값이 다축범위 수술자집단 근전도값 보다 작게 나타났다. 외측광근은 무릎굴곡각 $60^{\Omega}-45^{\Omega}$(p<0.05)에서 단축범위 수술자 집단 근전도 값이 다축범위 수술자집단 근전도값 보다 작게 나타났다. 대퇴직근의 값은 무릎굴곡각 $60^{\Omega}-30^{\Omega}$(p<0.05)에서 단축범위 수술자 집단 근전도 값이 다축범위 수술자집단 근전도값 보다 작게 나타났다. 대퇴이두근의 값은 무릎굴곡각 $75^{\Omega}-15^{\Omega}$(p<0.05)에서 단축범위 수술자 집단 근전도 값이 다축범위 수술자집단 근전도값 보다 작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