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ge Identification by Restoration of Red Ginseng

원형복원에 의한 홍삼의 연근 판별

  • Jang, Se-Young (Department of Industrial Plant Science & Techn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hin, Ju-Sik (Department of Industrial Plant Science & Techn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eok, Young-Seon (Department of Industrial Plant Science & Techn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Han, Yun-Kyung (Department of Industrial Plant Science & Techn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ung, Chan-Moon (Department of Industrial Plant Science & Techn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장세영 (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 ;
  • 신주식 (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 ;
  • 석영선 (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 ;
  • 한윤경 (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 ;
  • 정찬문 (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age of red ginseng using the stem vestige counting methods and annual ring staining method. The samples were soaked, humidified, and restored before identifying the age. Root tissue was removed from rhizome after soaking treatment in $50^{\circ}C$ water for three days. It was found to be useful for precise identification of age. Safranine staining for counting the annual ring in sliced ginseng was not useful due to the poor staining. However, annual ring was clearly revealed whenr humidified sliced ginseng or soaked sliced ginseng were dried mechanically. These two method was useful to identify the age of red ginseng.

홍삼을 습점 또는 수침처리하여 원형을 복원한 후 경흔적 기산법과 나이테염색법을 이용하여 연근을 판별하였다. 경흔적 기산법은 뇌두를 $50^{\circ}C$에서 3일간 침지하여 뇌두의 뿌리 조직을 제거하면 줄기 조직만 남게 되어 연근판별의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나이테 염색법은 홍삼 절편을 만들어 기존의 safranine에 의한 나이테 염색을 시도하였으나 나이테가 염색되지 않아 연근 판별이 불가능하였다. 한편 기계건조법은 홍삼 절편을 습점 처리하여 나이테를 건조시키던가 아니면 홍삼절편을 수침 처리하여 홍삼색소를 제거한 후 건조 사키면 나이테가 선명하게 들어나 연근판별이 가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종철, 안대진, 변정수: 백삼의 연근판별에 관한 시험. 인삼 연구보고서 (재배편) 175 (1988)
  2. 이장호, 이명구, 최광태, 이성식: 경(줄기)흔을 중심으로 한 재배인삼의 연 근판별. 고려인삼학회지 20, 72-77 (1996)
  3. 정찬문, 정열영, 이명구, 조재성: 인삼의 신아 및 잠아발생의 조직형태적 특성. 고려인삼학회지 19, 281 (1995)
  4. 이경환, 이성식, 이명구, 김은수: 인삼분비도관의 조직화학적 염색에 의한 연근판별. 고려인삼학회지 25, 101-105 (2001)
  5. 박훈, 오승환, 권석철: 초다경 인삼의 일예. 고려인삼학회지 4, 194 (1980)
  6. 박훈, 강순우, 이미경: 초고년근 고려인삼의 수량과 인삼적성. 고려인삼학 회지 13, 169 (1989)
  7. 최광태, 안상득, 신희석, 천성룡: 다경인삼의 근형질특성과 경수 발현빈도. 고려인삼학회지 8, 82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