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공사의 기후조건에 의한 작업불능일 예측방법 개선

Improvement of Non-Working Day Estimation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in the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 이근효 (동일건축 CM사업부,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
  • 신동우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
  • 김경래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 발행 : 2006.08.31

초록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 기후에 대한 공기산정은 정확한 자료 없이 현장관리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해 작업불능일수를 정함으로써 잦은 공기조정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 공사주체들 간의 이해관계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일부 건설 현장과 선행연구에서는 작업불능일 산정기준으로 과거 일정기간의 기상평균값을 사용하고 있지만, 과거 산정기간에 대한 기준이 정립되지 않아 현장마다 각기 다른 산정기간을 적용하고 있으며, 적용기간에 따라 산정한 작업불능일수가 서로 다른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대두되고 있는 기후변화는 기후예측을 보다 어렵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조건별 작업불능일 산정을 위한 산술평균값들 중 최근 몇 년 기간을 산술평균으로 한 예측값이 실제값과의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지 검토하여, 보다 예측성이 높은 산정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Non-working days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sites have been estimated without proper data. They are usually estimated based on project engineer's own experience and intuition. As a result, they cause not only economic loss to time-adjustment but also conflicts among project participants.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predict the weather nowadays than before due to tendency of recently weather chang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n improved estimation method for non-working days, which could minimize estimation errors. The estimation method is developed based on analysi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weather conditions which affect project du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운산, '기후변화가 건설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4
  2. 구해식 외, '건설공사의 기후요소에 대한 공기산정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5권, 11호, 1999
  3. 김연옥, 기후변화, (주)민음사, 1998
  4. 민경덕 외, 대기과학개론, 시그마프레스(주), 2003
  5. 이종수 외, '기상이변이 건설공기에 미치는 영향과 합리적 해결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3
  6. 이찬식 외, '건설공사의 적정 표준공사기간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1998
  7. 정석남 외, '가상기후 시뮬레이션에 의한 공기산정 의사결정 지원모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8. 정석남 외, '기후요소를 고려한 최적 착공시기 결정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권, 5호, 2003
  9. 진영섭 외, '아파트 공사기간 산정에 영향을 주는 작업불가능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8권, 1호, 1998
  10. 기후변화정보센터: www.climate.go.kr
  11. 기상청날씨정보: www.kma.go.kr
  12. COE 계약조건(용산미군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