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the Structural Framework on the Critical Path of Finish Works in Winter Season -Focusing on Case Study of High-rise Apartment Housing-

동절기 골조공사 시행이 마감공사의 주공정선에 미치는 영향 -아파트 공사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Public construction companies have strictly followed a rule that they should not do the works using water such as concrete pouring for the structural frame for a certain period during the winter season. It is usually known that the designated non-working period during the winter causes increase of the project duration and the project cost escalation. The halted work also makes negative effects on national economy because it reduces worker's income. However, the situation would be a lot better if the work for the structural frame is allowed under some conditions. The structural framework done alone without being followed by finish works gives a lot of stresses on the finish works. In this sens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tructural framework performed during the winter season affect on the critical path of the finish work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e subnet for the finish works as well as a master network are prepared along with critical paths for a virtual construction site. Using the prepared networks, simulations are carried out to see the effects described abov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estimating the construction duration of high-rise apartment housing when the site work for the structural frame should be performed during this period.

공공발주기관의 동절기 공사불능기간의 운영은 공사기간을 길게 하고, 건설사업비를 증가시킨다 또한, 건설인력의 활용을 어렵게 하여 근로소득을 감소시킴으로써 국가 경제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동절기에도 골조공사는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동절기에 골조공사만 시행하고 마감공사를 시행하지 않을 경우, 골조공사의 빠른 진척이 마감공사의 주공정선에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이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절기 골조공사 시행이 마감공사의 주공정선의 작업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현장을 설정한 후, 이 현장을 대상으로 마감공사의 공정표와 주공정선, 전체 공정표 및 주공정선을 작성하고, 공정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동절기 골조공사 시행 시 아파트 공사의 공기산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주택공사(1993), 공정관리 과학화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2. 대한주택공사(1998), 건설공사의 적정 표준공사기간 산정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3. 방종대(2005), 동절기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의사결정지표 산정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방종대, 한충희, 김선국(2004), 동절기 아파트 골조공사의 적정공기 산정에 관한 연구, 건설관리 제6권제5호(통권 제2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176
  5. 배장호(1994), 건축공사의 적정공기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6. 신종현, 이찬식(2003), 공동주택 골조공사의 적정 공사계 획 시스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9권11호 통권181 호, 대한건축학회, pp207-213
  7. 양극영(1996), 기상조건에 의한 건축공사 네트워크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권5호 통권7호, 대한건축학회, pp107-117
  8. 이준호, 이재섭, 신종현, 이찬식, 이현수, 김문한(1995), 공동주택 골조공사의 공사기간 및 공사비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5권 제1호, 대한건축학회, pp667-670
  9. 진영섭, 하상준, 이찬식, 이현수, 신종현(1998), 아파트 공 사기간 산정에 영향을 주는 작업불가능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8권 제1호, 대한건축학회, pp112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