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position of Reduced Haloperidol and $HPP,^+$ Metabolites of Haloperidol, is Not Influenced by P-Glycoprotein

Haloperidol 대사물 Reduced Haloperidol과 $HPP^+$의 체내 분포에 P-glycoprotein 수송체의 관련성 평가

  • Shin, Jae-Gook (Department of Pharmacology and PharmacoGenomics Research Center,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linical Pharmacology Center, Busan Paik Hospital) ;
  • Lee, Kyung-Hoon (Department of Molecular Cell Biolog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Clinical Trial Center, Clinical Research Institute, Samsung Medical Center) ;
  • Leonessa, Fabio (Vincent T. Lombardi Comprehensive Cancer Center, Georgetown University Medical Center) ;
  • Clarke, Robert (Vincent T. Lombardi Comprehensive Cancer Center, Georgetown University Medical Center) ;
  • Flockhart, David Alastair (Division of Clinical Pharmacology, Department of Medicine,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dianapolis)
  • 신재국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부산백병원 임상약리센터/인제대학교 약물유전체연구센터) ;
  • 이경훈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분자세포생물학교실/삼성서울병원 임상의학연구소 임상시험센터) ;
  • ;
  • ;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연구배경: $HPP^+$와 reduced haloperidol(RHAL) 및 haloperidol의 분포 및 소실(disposition)에 대한 P-glycoprotein(P-gp)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P-gp-(-)-MDA435/LCC6 세포주와 P-gp-과발현-$MDA435/LCC6^{MDR1}$ 세포주에서, $HPP^+$와 RHAL 및 haloperidol의 세포내 축적을 비교하였고 잘 알려진 P-gp 기질인 doxorubicin의 세포내 축적에 대한 다약제내성 환원 효과(MDR1-reversing effect)를 평가하였다. 결과: Haloperidol과 RHAL은 두 세포주에 용량 의존적으로 축적되었고 경미한 다약제내성 환원 효과를 보였으나, $HPP^+$는 매우 적게 축적되었으며 다약제내성 환원효과가 없었다. Haloperidol과 RHAL 및 HPP+의 축적 정도는 두 세포주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P-gp가 $HPP^+$와 RHAL 및 haloperidol의 분포 및 소실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이 화합물들이 뇌로 분포하는 것에 P-gp의 기질들과 유의하게 상호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