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d Painting of stone monuments

비석(碑石)에 칠해진 주사(朱砂)안료에 관한 연구

  • 신은정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강대일 (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
  • Published : 2005.12.20

Abstract

Red ocher, red lead or cinnabar has been as red colorant for ages. Cinnabar of the red pigments has been highly regarded as a valuable ingredient because it represent a symbol of exorcising and a haute image. It was used as a pigment of painting and mural painting, bowl, clothes, rock writing, gravestone, etc. It is powder which dissolves in perilla oil or glue before using. Because it is high-priced, the use of cinnabar may be limited to the privileged class. Therefore, red ocher or red lead was used instead of cinnabar. "Gongsagyunmunrok" demonstrated that government official's gravestonea has been painted red by two colorants in th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However, cinnabar may be used to paint gravestones for the first time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because it has been transmitted since the times. This study discuss the results obtained from an analysis of the pigments used on the red pigments of the Stone Monuments. The results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microcrystalline structures seen on the surface section of analyzed pigments, samples of which were taken from various parts of red pigments show that different sizes and shapes of pigment particle. Second,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pigments shows that the main components in their composition are : Red pigments - Red lead($Pb_3O_4$), Cinnabar(HgS) and Hematite($Fe_2O_3$) White pigments - Calcite($CaCO_3$) Especially, we knew that red Stone Monuments were found to be natural mineral pigments, which were used as a singular or a mixture.

우리나라에서 고대에 사용하던 붉은 색 안료에는 주사, 석간주, 장단 등이 있다. 이중에서 주사는 고급스러운 상품(上品)으로써 벽사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 단청, 벽화, 회화를 비롯해 비석, 지석 등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의 기록에서는 고려재상의 지석 음각에 붉은 칠을 메웠다고 기록되어 있어 비, 신도비, 지석 등에 주사와 같은 붉은 칠이 된 것은 고려시대 또는 그 이전부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문헌기록을 토대로 하여 비석에 남아있는 붉은 안료들의 몇 사례를 조사해 본 결과 대부분 주사, 장단, 석간주 등이 칠해졌음이 분석되었다. 또한 붉은 색의 발색을 더욱 선명히 하기 위해 붉은 칠 아래 바탕칠로써 호분칠이 된 경우도 발견되었다. 현존하는 붉은 안료가 칠해진 비석들은 대부분 조선시대 이후의 사례들이므로 조선시대에는 비등에 붉은 안료로 주사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는데,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에 남겨진 기록을 보아 고려시대에도 칠해졌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삼국시대 이미 주사안료가 중국으로부터 수입되어 우리나라에 고가의 상품으로 사용되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볼 때 비에 붉은 안료를 칠하던 것은 고려 이전부터 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렇게 붉은 안료로 주사를 주로 사용했을 것은 주사가 지닌 벽사적 상징의미를 미루어 볼 때 상당히 가능성이 있으며 당시 주사가 매우 고가인 탓에 한때 사용이 금지되기도 하였기에 주사 대신 석간주나 장단과 같은 대체안료가 사용되기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