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to Bronze production related workshop management of the Gyeongju Area

경주지역의 청동생산(靑銅生産) 공방운영(工房運營)에 대한 일고찰

  • Published : 2005.12.20

Abstract

Studies prosecuted on relics in those 17 bronze workshops that have been thus far excavated show that these workshops may be roughly classified into a royal workshop, a state-operated workshop and a private workshop depending upon by whom they were operated. Workshops in the Gyeongju area developed from a small royal handicraft manufacturing to a large state-operated handicraft manufacturing scale, and then later on gradually changed to a private handicraft manufacturing industry. The royal bronze workshops were operated in a small scale, as shown from the relics excavated at Wolseong(月城), Imhaejeonji(Anapji:雁鴨池) and their neighborhood places around Hwangnam_dong(皇南洞). The state-operated bronze workshops are concentrated upon one point around Dongcheon-dong(東川洞), Gyeongju city.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operated workshop stage, a broad street was built by a workshop, which is presumed to aim to thoroughly transport materials needed for the workshop. And the point that wastes from bronze workshops were used for road repairs indicates that road repair works were carried at the bronze workshops near the road. The private workshop as a new type of workshop was operated by the aristocracy. For that purpose, craftsmen belonging to state-operated workshops or individual artisans were absorbed into the aristocracy-operated workshops. These types of workshops were pervaded throughout the city. When private workshops came to emerge in the houses of the aristocracy, the operating subjects of workshops began to change from state-operated to private workshops. Temple workshops were located at a Buddhist temple within the Court and directly produced things needed for the court, including bronze foundries. As aforementioned, through the presence of bronze workshops operated in the Silla Court, we can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technical level and trading areas and among their origin, supply and demand sources, along with phases of social life in those days.

경주지역(慶州地域)에서 현재까지 발굴조사된 17개소의 청동공방유적(靑銅工房遺漬)들에 대한 연구결과 이들 유적들은 운영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서 궁중공방(宮中工房), 관영공방(官營工房), 사영공방(私營工房)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경주지역의 청동공방은 소규모의 궁중수공업(宮中手工業)을 위한 공방에서 대규모의 관영수공업(官營手工業)을 위한 공방으로 발전을 했고, 이후 귀족의 등장에 따라 사영수공업(私營手工業)으로 변화하였다. 궁중공방은 궁성(宮城)이 위치했던 월성(月城), 전 임해전지(傳 臨海殿址)와 인근의 황남동(皇南洞) 주변지역에서 확인된 청동공방으로서 소규모로 운영되었다. 관영공방은 경주시 동천동 일대에 집중된 청동공방으로 한 지역에 집중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관영공방 단계에서는 공방 옆에 대형 도로가 위치하는데 이는 공방에 소요되는 원자재(原資材)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도로의 보수작업에 청동공방에서 발생한 폐기물(廢棄物)이 사용된 점은 도로와 청동공방이 서로 유기적(有機的)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사영공방은 귀족들에 의해서 운영된 공방으로 관영공방에 속한 장인(匠人)들이나 개별적인 공장(工匠)들이 귀족들에게 흡수되어 만들어진 새로운 형태의 공방으로 시내 곳곳에 공방이 위치하는 모습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귀족들의 가택(家宅) 안에 마련된 작업장인 사영공방이 등장하게 되면서 공방의 운영주체는 국가에서 개인으로 점차 변화해 나간다고 추정할 수 있다. 사영공방은 왕경 안에 위치한 대형사찰에서 절 안에 공방을 두고 필요한 물품을 직접 생산하던 공방으로 청동주조와 관련된 작업장이 주로 발견되었다. 이상과 같이 신라왕경 안에서 운영된 청동공방의 존재를 통해서 우리는 당시의 기술력과 상품의 교역권, 생산지(生産地)와 수요처(需給處)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고, 사회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