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amination on the Appearance Process of Ammaksae(concave end roof tiles) of the Baekje Period

백제 암막새의 출현과정에 관한 검토

  • Published : 2005.12.20

Abstract

In this thesis, ammaksae, or internal roof tiles, which was reported to be in the period of Baekje, was examined on the basis of layer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and styles of relics. As a result, among the relics which have already been reported, jidumun amkiwa (concave roof tiles patterned by finger tips) excavated from Pungnap Earthen Wall and yudansik amkiwa (stepped concave roof tiles) from remains such as Guari Baekje Remains, could not be seen yet. The only relics that could be identified as original-style ammaksae or ammaksae were jidumun amkiwa unearthed from the site of Gunsurisa Temple, togiguyeon amkiwa (mouth-rim earthenware concave roof tiles) and yuaksik amkiwa (concave roof tiles with sills) from Buso Fortress and Gwanbukri Baekje Remains, and gwimyeonindongdangchomun ammaksae (honeysuckle-pattern concave end roof tiles with monster design) from the sites of Jeseok Temple and Mireuk Temple. Regarding ammaksae in the period of Baekje like the above, it is considered that jidumun amkiwa (short sills appeared), which showed up in the period of China's North Dynasties, developed into togiguyeon amkiwa and yuaksik amkiwa (sills were formed), and then gwimyeonindongdangchomun ammaksae (patterns appeared) emerged.

발굴조사에 의해 가장 많이 출토되는 것이 기와임에도 불구하고, 출토 양에 비해 그 연구 실적은 그다지 많지 않으며, 연구대상도 수막새가 주를 차지하고 있는 설정이었다. 또한 기와 연구는 유적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보조적 측면에 치중된 면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연구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기와 자체의 연구가 진전되었고, 그로 인해 자연스럽게 암막새의 출현 문제도 대두되었다. 하지만 현재 암막새가 삼국기대에 출현되었다는 점에는 모든 연구자들이 동조하는 사항이지만, '그 출현과정이 어떠했을까'란 점에는 쉽게 답을 내리지는 못하는 점 또한 사실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백제시대의 것으로 보고된 암막새를 고고학적인 출토 층위, 유물의 현태를 통해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이미 보고된 유물 중 풍납토성 출토 지두문암키와와 구아리백제유적 등에서 출토된 유단식암키와는 아직 시원형 암막새로 판단할 근거가 미약하고, 군수리사지 출토 지두문암키와, 부소산성과 관북리백제유적의 토기구연암키와와 유악식암키와 그리고 제적사지와 미륵사지의 귀면인동당초문암막새만이 시원형 암막새 혹은 암막새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백제 암막새는 중국 북조에서 출현한 지두문암키와(짧은 턱의 출현)에서 토기구연암키와와 유악식암키와(턱의 형성)로의 발전 이후 귀면인동당초문암막새(문양 출현)가 출현하게 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