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njoon-gut Music in Daejeon - Focused on Sir Shin Seok-bong's Antaek-gut Music-

대전의 앉은굿 음악 연구 - 신석봉 법사의 안택굿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5.12.20

Abstract

Based on a field investig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 2, author Sir Shin Seok-bong of Daejeon Metropolitan Cityinvestigated the music of Antaek-gut, which is the base and core of Anjoon-gut, and found the following musical features: A Jang-gu(drum) and Kkoaengkwari(gong) were used to recitethe Sutra(kyungmoon) of Anjoon-gut. The Jang-gu, located on the right side, played an accompaniment role with regular beats when the Sutra was recited. The Kkoaengkwari, located on the left side, played the role of covering the caesura of the Sutra passages, so it is played with various rhythmic variations in accordance with Kojang(鼓杖). This is one way of playing Korean national classical music that has temporary caesuras, depending on the rector's bre! ath or the contents of a Sutra during the Sutra chanting, with the Jang-gu covering the pause with its variation. In other words, when being played in concert, the instruments that play the main melody are at rest while another instrument takes its turn to play the main melody as a form of prolonged sound. The rhythmic cycles of the sutras of Antaek-gut recited with this instrumental accompaniment consist of five types; a) Woemarch-jangdan (a single beat) of 4 meter by 3 bit, b) Dumarch-jangdan (two beats) of 8 meter by 3 bit, c) Saemarch-jangdan (three beats) of 4 meter by 3 bit with a fast tempo, d) Mak-gojang, uniform beats with a standardized rhythm, and e) incomplete beats deviated from the regular beats. Sir Shin Seok-bong chanted Chang (唱), a traditional native song which he called 'Cheong (淸)' with a cycle of 'Dumarch-jangdan' throughout the places of Antaek-gut. Only 'Toesonggyung' a chant for the gate that was the last location of the Antaek, was chanted with a cycle of 'Woemarch-jan! gdan'. In addition, 'Saemarch-jangdan' and 'Mak-gojang' that had comparatively faster tempos than the former two jangdans, were played without a chant when a female shaman was dancing and catching her spirit-invoking wand. The 'Saemarch-jangdan', particularly, was played while dancing began at a relatively slow tempo, then proceeded at a violent tempo and then back again to the slow tempo. This show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os of our music with a slow-fast-slow tempo. The organizational tones were 'mi-la-do'-re'', and its key tones of 'mi-la-do'' were performed with perfect fourth and minor third, which was the same as those of Menari-tori. However, it did not show a typical Sigimse, an ornamental tone, of Menari-tory, whose first tone, 'mi', is vibrated and its Sigimse is gliding down from the tone 're' to 'do'. That is because the regional tone-tori of Chungcheong-do have a relatively weaker musical expression than that of Gyeongsang-do. In addition, the rhythmic types in accordance with the words of a song for the Antaek-gut music had a comparatively faster tempo than the other sutras. Also, it was only with 'Toesonggyeong' that the tone 'la' continuously appeared throughout the melody and showed 'a syllabic rhythm', while other places consisted of either a 'syncopation' or 'melismatic' rhythm. Finally, according to a brief investigation of the tone organization in accordance with each sutra, the tone 'la' was given more weight. The tone procedure showed a mainly ascending 'la-do'' and the descending 'la-mi' with minor third and perfect fourth. Also, the overall tempo proceeded with M.M.♩.=116-184, while the tempo for the Gut proceeded with M.M.♩.=120-140, which was suitable for reciting a Sutra.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 신석봉 법사(法師)에 대한 현지 조사를 통하여 앉은굿의 기초이며 핵심인 안택(安宅)굿의 음악을 연구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음악적 특징을 밝힐 수 있었다. 앉은굿의 경문(經文) 구송(口誦)을 위한 반주 악기로는 북과 꽹과리가 쓰이는데, 법사의 오른편에 놓인 북은 경문(經文)을 읊을 때 기본 장단을 규칙적으로 조용히 연주해 반주 역할을 하고, 법사의 왼편에 놓인 꽹과리는 경문 악절의 휴지부를 메우는 역할을 하므로 각 고장(鼓杖) 에 맞는 리듬 패턴을 다양한 변주 형태로 연주한다. 이와 같이 경문을 구송하다 법사의 호흡이나 경문의 내용에 따라 잠깐의 휴지부를 갖고, 그 사이를 꽹과리 변주 리듬으로 메우는 것은 국악 연주 방식 중 하나로, 합주 시 주선율 연주 악기들이 쉬는 사이에 다른 악기가 주선율을 이어서 연주하는 '연음형식(蓮音形式)'과 같다. 이 악기 반주에 맞추어 구송되는 안택굿 경문의 장단 주기는, 대체로 3소박4박의 '외마치 장단', 3소박8박의 '두마치 장단', 그 외에 '외마치 장단'과 같이 3소박4박의 리듬형을 가지고 있지만 그 템포가 매우 빠른 '세마치 장단', 다양한 리듬패턴 없이 획일화된 리듬형을 일률적으로 막치는 '막고장', 그리고 그 일반적인 장단형에서 벗어난 '못갖춘 장단의 다섯 가지 유형이 있다. 신석봉 법사는 안택굿 전반의 각 처에 걸쳐 '두마치 장단, 주기로 소위 그가 청(淸)이 라고 말하는 창(唱) 즉 소리를 하고 있으며, 오직 안택 마지막 처인 대문에서 구송되는 '퇴송경'만이 '외마치 장단' 주기로 연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에 비교적 앞의 두 장단보다 그 템포가 빠른 '세마치 장단'과 '막고장'은 무당이 춤출 때와 신장대 잡을 때 경(經) 없이 악기 연주로만 행해졌다. 특히 춤출 때 연주되는 '세마치 장단'은 비교적 느린 템포에서 시작하여 점점 몰아치다가 다시 느린 템포로 돌아오는데, 이와 같이 우리 음악의 대표적인 빠르기 형식 중 하나인 느림-빠름-느림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음조직에 있어서는 구성음이 mi-la-do'-re'이며, 그 주요 음이 mi-la-do'의 완4도+단3도 음진행을 보이고 있는 메나리토리의 음구성이나 음진행과 같지만, 첫 음인 mi음을 떨고 re'에서 do'로 흘러내리는 시김새를 갖는 전형적인 메나리토리 시김새의 특징이 조금 약하게 보이고 있다. 이는 아마도 전 지역에 걸쳐 그 음악적 어법(語法)이 경상도에 비해 비교적 약한 충청도라는 지역적인 음토리의 결과일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안택굿 음악의 가사 붙임에 따른 리듬형태는, 비교적 그 템포가 다른 경문들에 비해 빠르고 la음이 곡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퇴송경'에서만은 오직 '실라빅(syllabic)'한 리듬형을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신코페이션(syncopation)'이나 '멜리스마틱(melismatic)' 식의 리듬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각 경문에 따른 음구성을 간략히 살펴 본 결과, 음구성은 일반적으로 la음의 비중이 크며, la음을 중심으로 la-do' 상행과 la-mi 하행의 단3도, 완전4도 음정의 음진행을 주로 보이고 있다. 또한 전체 곡의 빠르기는 M.M.♩.=116-184정도의 빠르기에서 움직이고 있지만, 굿 전반에 걸쳐서는 대부분 경문 구송에 알맞은 빠르기인 M.M.♩=120-140 사이의 템포 즉 '보통빠르기' 정도로 진행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