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Feed Efficienc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for Holstein and F1(Holstein ♀ x Hanwoo ♂) Steers and Heifers

Holstein과 교잡종 거세우 및 처녀우의 성장발육, 사료이용성 및 도체특성 비교 연구

  • Kang, S.W.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Oh, Y.K.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Kim, K.H.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Choi, C.W.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Son, Y.S. (College of Life &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feeding levels for producing the high quality meat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deriving from the comparison of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among breeds(Holstein vs F1, Holstein♀×Hanwoo♂), sex(steer vs heifer) and interaction between breed and sex. Thirty two animals on 4 treatments(i.e. eight head each) were used for 540 days from seven to 24 months of ag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ange of average daily gains was 0.733 to 1.018, 0.994 to 1.255, 0.947 to 1.259 and 0.736 to 0.824kg for the growing, the early-fattening, the mid- fattening and the finishing periods, respectively. The range of average daily gains for the entire period was 0.882 to 1.061kg. The gains were higher for Holstein(7.3%) and the steers(10.5%) than F1 and the heifers, respectively. Concentrates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takes per kg gain were higher for Holstein and the heifers than F1 and the steers, respectively. These findings may indicate that feed utilization is higher for Holstein than F1, and higher for the steers than the heifers. In carcass characteristics, back fat thickness was thicker for Holstein than F1, and rib-eye area was smaller for Holstein than F1. The rib-eye area per kg carcass weight was larger for F1 and the heifers than Holstein and the steers, respectively. Meat color was better for Holstein than F1, but the sex distinct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ngissimus dorsi, shear force, cooking loss, water holding capacity and the panel test scores of juiciness, tenderness and flavor for F1 and the heifers were better than those for Holstein and the steer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we may conclude that F1 and heifers rather than Holstein and steers are recommended for high quality meat production. In steers and heifers of Holstein and F1, the optimal feeding levels may be 1.9% of apparent body weight for concentrates and 25% of concentrates intake for rice straw.

Holstein 및 교잡종(Holstein♀×한우♂)의 거세우 및 처녀우 각 8두씩 총 32두(평균체중, Holstein 거세우:196.9±25.2kg, Holstein 처녀우:163.4±11.3kg, 교잡종 거세우:169.6±24.9kg, 교잡종 처녀우 156.9±15.6kg)를 대상으로 7개월령부터 24개월령까지 비육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장단계별 일당증체량은 육성기, 비육전기, 비육중기 및 비육후기에 각각 0.733~1.018(평균 0.869), 0.994~1.255(평균 1.094), 0.947~1.259(평균 1.122) 및 0.736~0.824kg(평균 0.790kg)으로 비육중기>비육전기>육성기>비육후기의 순으로 높았다. 그러나 전 비육기간의 일당증체량은 0.882~1.061kg(평균 0.957kg)으로 순종이 교잡종보다 0.072kg(7.3%), 그리고 성별로는 거세우가 처녀우에 비해 0.106kg(10.5%)이 더 증체되었다. 전 비육기간의 농후사료 급여수준은 체중의 1.9% 내외이고, 볏짚은 농후사료 급여량의 25% 수준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kg 증체에 소요된 농후사료 및 TDN량은 순종이 교잡종보다 4.6%가 많았으며, 처녀우가 거세우보다 7.3%가 많아 순종보다는 교잡종이, 그리고 처녀우보다 거세우의 사료이용성이 높았다. 도체조사 결과, 등지방두께는 순종이 교잡종보다 엷었고, 등심단면적은 순종이 교잡종보다 적었다. 도체중 1kg에 대한 등심단면적은 순종보다 교잡종이, 그리고 거세우보다 처녀우가 넓었다. 그리고 육색은 교잡종보다 순종이 우수하였으나 성별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쇠고기의 물리화학적 특성에서 전단력, 가열감량 및 보수력 등과 관능검사 결과의 다즙성, 연도 및 향미 등은 순종보다 교잡종이, 그리고 거세우보다 처녀우가 우수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고급육생산은 순종보다 교잡종이, 그리고 거세우보다 처녀우가 유리하고, Holstein 및 교잡종의 거세우 및 처녀우 비육시 농후사료는 체중의 1.9%, 볏짚은 농후사료 량의 25% 수준에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 O. A. 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2. Kume, S., Kurihara, M., Takahashi. S., Shibata, M. and Aii. T. 1986. Effect of hot environmental temperature on major mineral balance in dry cows. Japan. J. Zootech. Sci. 57:940-945
  3. Mitsumoto. M. 1992. Studies on measurement and improvement of beef quality. Ph.D. Dissertation in Kyoto University. Japan
  4. Miyakoshi. Y., Imai, A., Fujitani, Y, lrie, M., TokumitlL S., Munekarado, K, Hirashima, Y, Kajikawa, H., Masaki, S. and Abe, A. 1999. Effect of different dietary energy levels in early and middle fattening periods on fattening performance of Holstein steers. Anim. Sci. J. 70:460-470
  5. SAS. 1997. SAS User's Guide : Stastics SAS Inst., Inc., Cary. NC
  6. 徳滿茂, 平鳴善典, 古賀銭也. 1999. 肥育用混合飼料中の絶繊維.デンプン含量が養分攝取量と要求量に及ぼす影響. 北陸地域重要新技術開發 促進事業報告書32-35
  7. 山崎敏雄. 1988. 黒毛和種 去勢牛の體組織の發膏に關する研究. 日本草地試験場. p. 11
  8. 善林明治. 1991.牛の交雑方式による牛肉生産. 畜産の研究 45:325-330
  9. 三谷克之輔. 1985. 交雑利用による効率的な牛肉生産システムの確立に關する研究. 博士論文 pp.154-171
  10. 二谷克之輔. 1988. 肉用牛飼養技術の手引き(肥育編). 264-271. 全国肉用牛協會. 東京
  11. 三谷克之輔. 1999. F1生産の理論と實踐.'和牛と乳牛の交雑利用' 第5章 第1節 F1の産肉能力と發育基準 pp.245-256
  12. 田上勇, 渡辺健, 舟橋利浩, 湞田潤, 倉科聲, 香川保憲. 1995. ホルスタイン種去勢牛の肉質に及ぼすビタミンA給興量について,シンポジウム-牛のビタミンA給與量と肉質について. 講演要旨集 pp.15-16
  13. 田中彰治, 富研治. 1979. 環境要因と肥育牛の成長に關する統計的分析とくに温度, 濕度および季節の影響について.中国農試報告 B24:13-21
  14. 中央畜産會. 2000.日本飼養標準肉用牛. 農林水産省 農林水産技術會議事務局編
  15. .板倉福多郎, 森田宏, 丹羽有功. 1990.育成期の粗飼料割合が乳用雌牛の肥育に及ぼす影響. 愛知農總試研報, 22:339-345
  16. 霞惠吏, 生方淸, 中村松夫, 阿久澤榮一, 原澤育代. 1989. 乳用種雌牛肥育試験. 群馬農業研究, C-6:42
  17. 黑肥地. 郞, 潼本勇治, 岩成, 美濃貞治朗, 吉田正 三郎, 田中影治, 上田敬介, 寺田降慶, 橋瓜徳三, 針生皇吉, 森本宏. 1970. 肉用牛の飼養標準に關する研究. (II)去勢牛の岩齢肥育における濃厚飼料と粗飼料の割合. 九州農試報告 15. pp. 331-366
  18. 강수원, 김준식, 조원모, 안병석, 기광석, 손용석. 2002. 육성비육 거세한우에 대한 점토광물 급여가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효과. 동물자원지 44(3):327-340
  19. 강수원, 정하연, 안병석, 오영균, 손용석. 2004. 홀스타인 거세우에 대한 육성기 농후사료 급여형태 및 출하원령이 성장발육, 사료이용성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효과. 동물자원지 46(6):989-998
  20. 강수원, 오영균, 최창원, 김경훈, 손용석. 2005. Holstein, 한우 및 교잡종 거세우의 발육능력과 사료이용성 및 도체특성 비교 연구. 동물자원지 47(2):1-10
  21. 농림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5. 가축통계조사결과. 2 축종별 현황가 한.육우 pp. 2-12
  22. 농림수산부 축협중앙회 1992. 한우고급육생산. 제 4편 한우 고급육생산 비육기술 p. 153
  23.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1998. 한우 고급육생산기술개발 보고서. III. 한우 고급육생산 기술 개발연구. 11. 한우 암소비육시 비육기간이 육질에 미치는 영향 pp. 464-474
  24.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2000. 생산비 절감을 위한 새로운 한우사육기술 p. 78
  25.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2002. 한국 표준사료 성분표.1. 반추가축 : 조성분, 소화율, 영양가 pp. 62-63
  26. 정근기, 김대곤, 성삼경, 최창본, 김성경, 김덕영, 최봉재, 윤영탁. 1996. 거세가 한우 및 훌스타인 비육우의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 한축지 38(1):69-76
  27. 축산물 등급판정소. 2004. 2003 년도 축산물 등급판정사업보고서. 제 2장 축산물등급판정. pp. 45-65

Cited by

  1. Effect of Feeding Level of High Energy-TMR for Growing Phase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Analysis in Fattening of Hanwoo Heifers vol.52, pp.5, 2018, https://doi.org/10.14397/jals.2018.52.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