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AR AND CHEMICAL DEGRADATION OF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차세대 레진 개발을 위한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화학적 분해와 마모에 관한 연구

  • Yang, Kyu-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Research Institute) ;
  • Choi, Eu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Research Institute) ;
  • Choi, Nam-K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Research Institute) ;
  • Kim, Seon-M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Research Institute)
  • 양규호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최은영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최남기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김선미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and to compare the wear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four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in an alkaline solution(0.1N NaOH). The brands studied were MetafilCX(Sun medical, Japan) Solitaire 2(Heraeus Kulzer, USA), Composan LCM(Promedica, Germany), DenFil(Vericom,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ss loss of each brand was 0.74~7.94% and highest value in Metafil($7.94{\pm}0.39%$). 2. The sequence of the degree of degradation layer depth was in descending order by Metafil, Solitaire 2, DenFil, Composan LC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tafil and the others(p<0.05). 3. The sequence of the Si loss was in descending order by Metafil, Solitaire 2, Composan LCM, DenFi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aterials(p<0.05). 4. On SEM, destruction of bonding between matrix and filler and on CLSM, the depth of degradation layer of specimen surface was observed. 5. The sequence of maximum wear depth was in descending order by Metafil, Solitaire 2, Composan LCM and DenFi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aterials(p<0.05). 6.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i loss and degradation layer depth (r=0.491, p<0.05) and Vicker's hardness number and maximum wear depth (r=-0.942, p<0.05) were relatively hig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ydrolytic degradation and wear may consider as a evaluation factors of composite resins.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수복재료로 사용되는 복합레진은 치아의 저작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할 수 있는 물리적, 화학적 성질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적합성과 구강내 환경변화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유치에 사용하려고 할 때에도 마모저항성과 구강내 환경에서의 분해저항성은 고려해야할 중요한 물성이다. 실험에 사용된 복합레진은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Metafil CX(Sun Medical, Japan) Solitaire 2(Heraeus Kulzer, USA), Composan LCM(Promedica, Germany), DenFil(Vericom, Korea)이었다. 각 제품의 분해저항성과 마모도를 평가하고자 마모시험 후 마모된 면의 깊이를 측정하였고 화학적분해를 얻기 위해 0.1N NaOH에 보관 시 각 제품의 분해저항성을 무게손실, 표면하 분해층 깊이, 용출된 Si 농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과 공촛점 레이저 현미경으로 분해층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무게 손실량은 0.74~7.94%까지 다양하였으며 Metafil에서 가장 높았다. 2. 분해층 깊이는 Metafil이 가장 깊었고 Solitare 2, Denfil, Composan LCM순이었고 Metafil은 다른제품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Si 용출량은 Metafil이 가장 많았으며 Metafil CX와 Composan LCM, DenFil, Solitaire 2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시 표면 양상 및 분해층 깊이를 관찰할 수 있었고 공촛점 레이저 현미경 관찰시 NaOH 용액에 보관한 후 수복재의 기질과 충전제 사이의 결합의 파괴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최대마모깊이는 DenFil에서 가장 낮았고, Metafil CX에서 가장 깊었으며 각 제품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6. 각 제품의 Si 용출량과 분해층 깊이 사이(r=0.491, p<0.05), 최대마모깊이와 비커스경도 간(r=-0.942, p<0.01)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복합레진의 평가요소로서 마모도와 함께 가수분해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