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THODONTIC TREATMENT OF THE DISPLACED UNERUPTED MAXILLARY CANINE : CASE REPORT

변위된 미맹출 상악 견치의 교정 치험례

  • Lim, Hye-Jeo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Choi, Nam-K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Kim, Seon-M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Yang, Kyu-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임혜정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최남기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김선미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양규호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The maxillary canine is especially important as it has the longest root, provides guidance for lateral movement of the mandible and masticatory function and is a key in esthetics due to its position. Maxillary canine has the longest time to develop and a complex route from the place of formation to the site of eruption, and so it is prone to impaction more than other teeth. The clinician should consider the various treatment options : (a) No treatment and observation, (b)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action (c) autotransplantation (d) extraction. Surgical exposure of the canine and orthodontic treatment to bring the tooth into the line of occlusion is considered the most desirable approach. This case presents the results of treatment for impacted maxillary canine by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ooth movement.

상악 견치는 가장 긴 치근을 가지며 저작기능과 함께 하악의 측방운동을 유도하고 심미적으로도 치열궁의 구각부위에 위치하여 교합관계의 조화와 대칭을 유지하는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악 견치는 발육기간이 가장 길며 형성되어 맹출하기까지 복잡한 경로를 갖기 때문에 다른 치아보다 매복의 빈도가 높다. 이러한 매복치를 치료하기 위해 임상의는 관찰을 하거나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 자가치아이식, 발치 등 다양한 치료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외과적 노출과 교정치료는 견치를 교합선상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접근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증례 보고는 구개측으로 매복된 상악 견치를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치아이동을 통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