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IVE PENETRATION OF ETCHING AGENT IN OCCLUSAL PIT & FISSURE

교합면 소와 열구에서 산부식 제재의 효과적인 침투 방법에 대한 연구

  • Lee, Seong-Ryo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Chang-Seo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Na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이성룡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창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penetration methods of acid etching agents in the pit and fissures on the occlusal surface. Extracted maxillary first and second premola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 to Group I only acid etching agent was applied, to Group II ultrasonic scaler as well as acid etching agent were applied, to Group III after fissurotomy acid etching agent was applied, and to Group IV after fissurotomy the same process performed with Group II. The comparison between the 4 groups by the use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howed the results as follows : 1. Comparing each groups with regard to the penetration rate(%) of acid etching agents, Group III and Group IV showed improved penetration rate(%) compared with Group I. Group II made no significant different results from Group I, but had somewhat better penetration rate(%). 2. Comparing each groups with regard to the penetration rate(%) of acid etching agents according to regions within fissures, Group III and Group IV showed more improved penetration rate than Group I in the mesial pit and distal pit.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s was showed in the middle fissure.

치면열구전색술의 우식예방효과는 전색제의 유지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는 전 단계 과정인 산부식제의 열구 내 침투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합면 소와 및 열구에 산부식제의 효과적인 침투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발거된 상악 제 1, 2 소구치 40개를 각각 10개씩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I군은 교합면 소와 및 열구 부위에 통법에 따라 산부식제를 도포하였고 II군은 각 치아의 교합면 소와 및 열구부위에 산부식제 도포와 함께 초음파 진동을 주었다. III군은 각 치아의 교합면 소와 및 열구부위에 열구성형술(Fissurotomy)를 시행한 후 산부식제를 도포하였고, IV군은 각 치아의 교합면 소와 및 열구부위에 열구성형술후 산부식제 도포와 초음파 진동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이상의 실험 후 각 군의 산부식제 침투도를 비교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군의 산부식제 침투도를 비교한 결과, 각각 III군과 IV군에서 I군에 대해 향상된 침투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5). 2. 부위별 군에 따른 침투도를 비교한 결과, 근심 소와부위와 원심 소와부위에서는 III군과 IV군이 I군에 대해 향상된 침투도를 보였으나(P<0.05), 열구 중앙부위는 각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