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ATIVE STUDY ON THE SEDATIVE EFFECT OF DIFFERENT INTRAVENOUS MIDAZOLAM DOSAGES FOR PEDIATRIC DENTAL PATIENTS

소아환자의 Midazolam의 정맥투여 용량에 따른 진정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 Kim, Eu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Kim, Jong-So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You, Seung-Ho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김은영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종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유승훈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Intravenous sedation have many advantages of rapid onset and recovery, ability of control sedation levels and duration through titration. Midazolam is most commonly used intravenous medication for sedation in pediatrics, endoscopy, oncologic procedures and so on. But in dentistry, midazolam intravenous sedation is usually for adult, and there are few reports for children. Todays, children who need sedation become more and older, intravenous sedation technique is going a matter of concern in pediatric dentist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edation and clinical success for different initial dosage of midazolam in intravenous sedation for pediatric dental patients. 16 healthy children (male 10, female 6), mean age $54.7{\pm}10.7$ months, who needed at least two separate treatment visits requiring local anesthesia were chosen for this study. Every children were taken 0.3mg/kg, maximum 5mg of midazolam by intramuscular route, and then 30~50% $N_2O-O_2$ for 10 minutes was given. On every visits, one of the following 2 different initial dosage was given by intravenous route : (1) Group I : 0.1mg/kg Midazolam (2) Group II : 0.2mg/kg Midazolam. Additional dosage was half of the first dose. Physiologic parameters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respiratory rate, end-tidal carbon dioxide pressure) was recorded by ten procedure steps. Behavior was videotaped and rated using Ohio State University Behavioral Rating Scale and Automated Counting System by one investigator, blind to administered dosage. After the treatment, operator evaluated the clinical success. Physiologic parameters were stable and within normal range during treatment in both groups. The analyzed sedative effect, in behavioral evaluation, ratio of favorable Quiet was higher in group II, and clinical success rate of group II was better than group I. Induction time was rapid in group II, and recovery time was rapid in group I.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every results.

소아환자는 치과치료시 다양한 방법의 진정요법이 요구된다. 정맥내 투여방법은 약효의 발현이 빠르고, 진정의 심도 및 시간을 술자의 의도대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idazolam은 현재 의과 및 치과영역에서 성인의 진정요법에 가장 널리 쓰이며, 심혈관계와 호흡계에 대한 영향이 적은 진정 약제이다. 그러나 midazolam을 이용한 정맥내 진정요법의 소아치과에서의 사용에 대한 연구와 보고는 적은 편으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환자에서의 midazolam을 이용한 정맥내 투여시 효과적이고 안전한 초기 투여용량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진정요법으로 2회 이상의 구치부 치료가 필요한 건강하고 비협조적인 행동을 보이는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54.7{\pm}10.7$개월, 평균 몸무게는 $18.1{\pm}3.0kg$이었다. 술전 투약으로 0.3mg/kg, 최대 5mg의 midazolam을 근육내 투여 후 30~50%의 $N_2O-O_2$를 병용투여한다. 이중 맹검법에 의해 모든 환자는 두 번의 내원 중 임의로 한번은 0.1mg/kg(I군)을, 다른 한번은 0.2mg/kg(II군)의 초기 용량의 midazolam을 정맥내 투여하여 치료하였고, 추가투여시에는 초기용량의 1/2을 투여하였다. 치료시 환자의 생징후를 측정하였고, 행동양상은 Ohio State University Behavioral Rating Scale과 Automated Counting Syste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술자는 Houpt가 제시한 기준을 응용하여 임상적 치료의 성공과 실패를 평가하였다. 몸무게에 대한 총 투여용량은 I군에서 0.16mg/kg, 2군에서 0.24 mg/kg 이었다. 생징후의 경우 두 군 모두 정상범위 내에서 안정된 상태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행동양상평가에서 II군에서 바람직한 행동양상(Quiet)의 비율이 높았고, 임상적 성공률은 II군에서 높았으나, 두 군간 통계학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p>0.05). 작용 발현시간은 II군에서, 회복시간은 I군에서 빨랐고, 약물 투여 횟수는 I군에서 많았으나,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