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딸기 시설재배에서 시비방법이 작물의 생육, 무기원소 흡수 및 토양 중 무기염 집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1차 년도의 시비방법에 따른 딸기 생육에서 초장, 엽장, 관부직경, 엽병장 및 엽폭은 대조구를 제외한 시비구들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10a당 수량에서 (D)가 가장 많았고, (A), 농촌진흥청 추천시비(B), 일본의 도치기시험장 추천시비(C) 및 대조구(E)순으로 수확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D)와 (E) 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2차년도 정식 80일 후에 조사한 생육 또한 (E)를 제외한 시비구들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2차년도의 수량 및 평균 과중 등은 1차년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차년도 토양분석에서 pH는 모두 수용 가능한 범위에 포함되었으나 (A)와 (D)에서 EC가 2.36 및 2.19%$dS{\cdot}m^{-1}$로 측정되었다. (A)와 (D)는 토양 $NO_{3-}N$ 농도가 각각 74.6 및 65.%$mg{\cdot}L^{-1}$, 그리고 Na가 3.71 및 3.53$cmol+kg^{-1}$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A) 및 (D)는 수량 증가를 위해 바람직 하나 토양의 $NO_{3-}N$ 및 Na 농도를 높여 염류집적을 심화시키는 시비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rtilization programs on crop growth, nutrient uptake and yield of strawberry and salt accumulation in PE film house soil. To achieve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rough two years with various fertilization program such as traditional fertilization(A), recommended fertilization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B), Tochigi prefectural experiment station (C) and Nonsan strawberry experiment station (D), and control (E). In 1st year, statistical differences in growth characteristics were not observed among treatments except (E). Yield per 10 was the highest in (D) followed by (A), (B), (C) and (E) and there was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D) and (E). In the 2nd year experiment,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showed similar trends to those of 1st year experiment. In the results of soil analysis of 2nd year, the soil pH of all treatments were in the acceptable range, while electrical conductivity of (A) and (D) were 2.36 and 2.19 %$dS{\cdot}m^{-1}$, respectively. After finishing of strawberry cultivation, nitrate concentration in soil solution of (A) and (D) were 74.6 and 65.0%$mg{\cdot}L^{-1}$ and Na in those were 3.71 and 3.53 $cmol+kg^{-1}$, respectively.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A) and (D) were good fertilization program for strawberry cultivation, but those also resulted in accumulation of $NO_{3-}N$ and Na in PE house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