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bial Hygienic Status of Poultry Meats and Eggs Collected at the Public Markets in Seoul and Kyung-gi Regions in 1996

1996년도 서울${\cdot}$경기지역에서의 시판계육과 계란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생실태

  • Woo Yong-Ku (Institute of Laboratory Animal Resource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 우용구 (서울대학교 실험동물자원관리원)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o determine the actual hygienic status of domestic chicken meats sold in public markets (conventional 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Total cells, Coliforms and Staphylococcal cells) and zoonotic pathogens (Salmonella species, Campylobacter species, Listeria species, and Staphylococcus aureus) isolation tests were conducted. Chicken meats and eggs tested were collected from the conventional markets (Si-Jang) and department-store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regions in 1996. In total cells and coliforms contamination tests, chicken meats sold in department stores were much lesser contamination status than those of Si-Jang, but staphylococcal cells level was much more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markets. Salmonella isolation frequency was investigated as $68.8\%$, but Campylobacter jejuni and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ion frequency were appeared both $64.0\%\;and\;63.3\%$. In case of eggs sold in public markets, one of S. gallinarum strain $(0.7\%)$ was isolated only on the egg-shell part among the four-hundred and fourty-six. In comparison with foreign imported chicken meat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in microbial contamination status. On the other hand, both Salmonella and L. monocytogenes were isolated only in the chicken wings from Korea and China, but not from U.S.A. This data suggest that more hygienic control system in order to produce the safe and hygienic chicken meats and eggs is need in our country as soon as possible.

1996년도에 서울${\cdot}$경기지역 소재의 재래시장과 백화점에서 판매되고 있던 계육과 계란을 구입하여 각종 미생물학적 위생실태를 조사하였다. 먼저 계육을 구입처에 따라 구분하고 총균수, 대장균군수와 포도상구군수를 산정하여 오염도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주요 인수공통 병원균들인 Salmonella 속균을 비롯하여 Campylobacter jejuni,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및 E. coli O157:H7에 대해서도 분리율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비교를 위해서 수입판매 되고 있는 미국과 중국산의 수입계육과 국내산 계육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의 각종 미생물학적 위생실태를 비교조사 하였던 바 그 성적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먼저 미생물오염도비교조사에서 백화점의 시판계육은 총세균수와 대장균군수에 있어서 재래시장의 시판계육보다도 낮은 세균오염도를 보였지만, 포도상구균수에 있어서는 오히려 백화점의 시판계육에서 더욱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Salmonella 속균의 분리율 성적에서는 재래시장의 시판계육이 $76.5\%$의 분리율을 보였고, 백화점의 시판계육은 $60\%$의 균분리율을 나타내었으며, 국내 시판계육 전체적으로는 $68.8\%$의 Salmonella 분리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인수공통 병원균인 Listeria 속균의 분리율 성적은 재래시장의 시판계육이 $73.3\%$로서 백화점 시판계육의 $53.\%$ 보다도 더욱 높았고, 전체적으로는 $63.3\%$의 분리율 성적을 보였다. 반면에 Campylobacter 속균의 경우에는 백화점 시판계육이 $80\%$로서 재래시장의 시판계육의 $53.3\%$ 보다도 높은 분리율 성적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는 $64.0\%$의 분리율을 나타내어 Salmonella속균에 이어서 두 번째로 높은 균분리율을 보였다. 그러나 국내산 시판계육에서 E. coli O157:H7 균주는 전혀 분리되지 않았다. 국내 및 수입산(미국 & 중국) 닭부분육(닭다리, 닭날개 및 발골육)에 대한 각종 미생물의 오염도 조사에서 대장균군수의 경우 양자 간에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총세균수와 포도상구균수에 있어서는 수입산 계육이 국내산 보다 $10\~100$ 배정도 낮은 오염도를 보였다. 닭날개(Wings)의 경우 국내산에서는 S.typhimurium $(33\%)$이 분리 되었으나, 미국산 닭날개에서는 Salmonella 속균이 전혀 분리되지 않아 대조적이었다. 하지만, 중국산의 닭부분육(혼합육)에서는 S. enteritidis와 L. monocytogenes도 함께 분리되었다. 그러나 부분육의 경우 국내산 및 수입산 모두에서 Campylobacter 속균과 E. coli O157:H7 균주는 전혀 분리되지 않았다. 서울${\cdot}$경기지역의 재래시장과 백화점에서 시판되고 있는 계란 총 446개에 대해서도 동일한 절차와 방법으로 조사하였던바, 재래시장에서 구입했던 계란의 난각부분(Egg-shell)에서만 가금티푸스(fowl Typhoid)의 병원체인 S. gallinarum이 1주$(0.2\%)$만이 분리되었고, 기타 세균으로서는 대장균군이 역시 난각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고, 난황(Yolk)에서는 극히 낮은 수준의 세균오염도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조. 1990. 식육미생물검사의 현황과 개선대책.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4(2), 137-150
  2.  김호훈, 신영학, 장영수. 1995. 최근 보건검사실에서 분리된 Salmonella 속균의 혈청형 및 역학적 특성. 한국수 의공중보건학회지, 19, 343-350
  3.  김기석, 이영주, 모인필, 우용구. 2002. 닭 도축장내 위해 요소 중점관리기준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26, 343-350
  4. 우용구, 이영주, 김기석, 김봉환. 1996. 국내 시판계유에 대한 미생물오염도 조사. 농진청 수의과학연구소 시험연 구사업보고서 (II 대외비), 57-61
  5. 우용구, 박미선, 우승룡, 김봉환, 김재학. 2000. 한국의 동물과 사람에서 분리한 Salmonella enteritidis의 phage types. 대한수의학회지, 40, 515-524
  6.  우용구, 이희수, 이영주, 강민수, 김봉환, 김재학. 2000. 우리나라의 가금과 환경에서 분리한 Salmonella species 의 특성. 대한수의학회지, 40, 505-514
  7.  우용구, 김기석, 김봉환. 1998. Coagulase genes의 polymor- phisms에 따른 국내 계육유래 Staphylococcus aureus의 molecular typing. 수의과학논문집, 40, 36-42
  8.  홍종해. 1994. 국내에서 보고된 동물성 식품유래 식중독의 역학적 발생특징.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8, 147-153
  9. Baker, R.C. and J.P. Goff. 1980. Prevalence of Salmonella on eggs form poultry farms in New York state. Poultry Science 59, 289- 292 https://doi.org/10.3382/ps.0590289
  10.  Baily, J.S., J.Y. Chiu, N.A. Cox, and R.W. Johnston. 1988.Improved selective procedure for detection of Salmonella form poultry and sausage products. J. Food Protection 51, 391-396 https://doi.org/10.4315/0362-028X-51.5.391
  11.  Call, D.R., J.G. Hallett, S.G. Mech, M. Evans. 2001. Detecting andgenotyping Escherichia coli O157:H7 using multiplex PCR and nucleic acid microarrays. Mol. Ecol. 7, 1337-1346 https://doi.org/10.1046/j.1365-294x.1998.00454.x
  12.  Chasseignaux, E., M.T. Toquin, C. Ragimbeau. 2001. Molecularepidemiology of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s collected from the environment, raw meat and raw products in two poultry- and pork-processing plants. J Appl. Microbiol. 91, 888-899 https://doi.org/10.1046/j.1365-2672.2001.01445.x
  13.  Cox, N.A., J.S. Baily, J.E. Thomson, and M.O. Carson. 1980. Lac tose pre- enrichment versus direct enrichment for recovering Salmonella form deep-chilled broilers and frozen meat products. Poultry Science 59, 2431-2436 https://doi.org/10.3382/ps.0592431
  14.  Ebel, E.D., J. Mason, and E.A. Thomas. 1993. Occurrence of Sal monella enteritidis in unpasteurized liquid egg in the United States. Avian Diseases 37, 135- 142 https://doi.org/10.2307/1591466
  15.  Henzler, D.J., E. Ebel, J. Sanders. 1994. Salmonella enteritidis ineggs farm commercial chicken layer flocks implicated in Human outbreaks. Avian Diseases 38, 37-43 https://doi.org/10.2307/1591834
  16.  Hitchins, A.D. 1995. Listeria monocytogenes. FDA Bacteriologi cal analytical manual. 8th ed., AOAC International, Gaithersburg, USA, p 10.01-11.07
  17.  Humphrey, T.J., K.W. Martin, and A. Whitehead. 1994. Contami nation of hands and work surfaces with Salmonella enteritidis PT4 during the preparation of egg dishes. Epidemol Infect. 113, 403- 409 https://doi.org/10.1017/S0950268800068412
  18.  Humphrey, T.J. 1990. Public health implications of the infection ofegg-laying hens with Salmonella enteritidis phage type 4. World Poultry Sci. J. 46, 5-13
  19.  Lammerding, A.M., M.M. Garcia, E.D. Mann, et. al. 1988. Prev alence of Salmonella and thermophilic Campylobacter in fresh pork, beef, veal and poultry in Canada. J of Food Protection 51, 47-52 https://doi.org/10.4315/0362-028X-51.1.47
  20.  Liebana, E., L. Garcia-Migura, M.F. Breslin, et. al. 2001. Diversityof strains of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enteritidis from England poultry farms assessed by multiple genetic fingerprinting. J. Clin. Microbiol. 39, 154-161 https://doi.org/10.1128/JCM.39.1.154-161.2001
  21.  MacFaddin, J.F. 1980. Biochemical tests for identification of medical bacteria. 2 nd ed. Waverly Press Inc
  22.  Mead, G.C. 1990. Standardized method for determining the micro biological condition of processed poultry in relation to potential shelf-life. World's poultry Sci. J. 46, 14-18
  23.  Paola, C. L., B. Kristina, and M. Charlotte, et al. 1996. Rapid iden tification of Campylobacter species by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of a PCR-amplified fragment of the gene coding for 16S rRNA. J. Clin. Microbiol. 34, 62-67
  24. Peters, M., J. Pohlenz, K. Jaton, et al. 1995. Studies of the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culture and PCR in cerebrospinal fluid samples from ruminants with Listeric encephalitis. JVMS. 42, 84-88
  25. Popoff, M.Y., J. Bockemuhl, F.W. Brenner. 2000. Supplement 1998 (no. 42) to the Kauffmann-White scheme. Res. Microbiol.151, 63-65 https://doi.org/10.1016/S0923-2508(00)00126-1
  26. Rahkio, M. and H. Korkeala. 1996.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Carcasses related to hygiene practice and facilities on slaughtering lines. Acta. Vet. Scand. 37, 219-228
  27. Wallace, H.A., A.J. Geraldine, S.S. Patricia, et al. 1995. Salmonella. FDA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8th ed., AOAC International, Gaithersburg,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