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rifuge Model Test on the Bearing Capacity and Failure Mechanism of Composit Ground Improved with Slag Compaction Piles

슬래그 다짐말뚝으로 개량된 복합지반의 지지력 및 파괴메카니즘에 관한 원심모형실험

  • 유남재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박병수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정길수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고경환 (삼성물산(주) 건설부문) ;
  • 김지성 (삼성중공업(주) 건설사업부)
  • Published : 2005.02.01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earch results of centrifuge model test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behavior of slag compaction pile as a substitute of sand compaction pile. For centrifuge model tests, bearing capacity of composit soil improved with slag compaction piles, stress concentrations in-between pile and soft clay, settlement characteristics, and failure modes were investigated with slags differing in their relative density. A slag was found to be a good substitute for a sand since the slag compaction pile model showed a greater yield stress intensity up to $30\%$ than the sand compaction pile model under the identical testing conditions. Stress concentration ratio tended to increase with the relative density of slag pile and the clear shear lines in the piles were observed at the depth of $2D{\sim}2.5D$ (D=dia. of model pile) from the top of the piles after loading tests. Numerical analysis with a software of CRISP, implemented with the modified Cam-clay model, was carried out to simulate the results of centrifuge model test. Test results about characteristics of load-settlement curves and stress concentration ratio are in relatively good agreements with numerical estimations.

본 논문은 모래다짐말뚝의 대체재로 제강슬래그를 다짐말뚝으로 사용하여 그에 따른 지반공학적 거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원심모형 실험을 수행한 실험적 수치적 연구 결과이다. 제강슬래그의 상대밀도를 변화시킨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여 그의 지지력 변화, 말뚝과 점토지반 사이의 응력분담비, 침하특성, 파괴메카니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원심모형실험결과, 슬래그다짐말뚝의 상대밀도가 증가할수록 지지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동일조건의 모래다짐말뚝 보다 약 $30\%$ 정도 항복하중강도가 크게 나타나 모래 대체 재료로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슬래그다짐말뚝의 상대밀도가 증가할수록 응력분담비는 증가하였으며 재하시험후 활동선 관찰결과 말뚝상부로 부터 $2D{\sim}2.5D$ 깊이에서 말뚝의 명료한 전단면이 발생하였다. 한편, 수정 Cam-clay 모델을 사용한 상용프로그램 CRISP을 이용하여 원심모형실험결과를 모사하였다. 하중-침하 곡선과 응력분담비의 특성에 대한 해석결과는 실험결과와 비교적 근접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수, 방인호, 박영화, 차주석, 김건태 (2001), '제강슬래그를 활용한 Stone column 공볍의 현장시험시공 사례연구(III)', 2001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
  2. 이미혜 (1999), 다짐말뚝 채움재로서 슬래그의 적용성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공학석사학위논문
  3. 제강슬래그협회 (2000), 제강슬래그 항만공사용 이용안내서, 포항종합제철
  4. 천병식 (2001), 동제련 슬래그 골재의 토목공사에의 활용, 동제련슬래그의 건설용 골재활용 심포지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5. 해양수산부 (1999), 대수심방파제 및 연약지반 관련기술(II), 해양수산부
  6. Hughes, J.M.O. and Withers, N.J. (1974), 'Reinforcing of soft cohesive soils with stone column', Ground Engineering, Vol.7, No.3, May, pp.42-49
  7. Masaaki, T. and Masaki, K. (1990), 'Bearing capacity of clay ground improved by sand compaction piles of low replacement area ratio', Report of The Port and Harbour Research Institute, Vol.29, No.2, pp.119-147
  8. Matsuo, M. (1967), 'Stability analysis of clay improved with sand piles', Tsuchi to Kiso, Vol.15, No.12, pp.27-35
  9. Roscoe, K. H and Burland, J. B. (1968), 'On the generalized stress-strain behavior of wet clays', Proceedings of Eng., Plastic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England, pp.535-609
  10. SAGE CRISP (2000), User's guide and technical reference guide, SAGE Engineering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