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ssessment on the Geographical Boundary of Hydrometeorologic Changes due to Dam Construction

댐 건설에 따른 수문기상학적 영향 범위

  • 안재현 (서경대학교 토목공학과) ;
  • 유철상 (고려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김학열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
  • 윤용남 (고려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5.04.0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hydrometeorologic changes after a dam construction, and develops a model related to estimating the geographical boundary hour far hydrometeorologic changes could happen due to a dam construction. The model is applied to several dams, namely Seomjin Dam, Soyang Dam, Andong Dam, and Chungju Dam. Throughout estim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albedo and recycling coefficients, the result confirms that the land use changes by dam construction are the critical factor on the recycling of the water in the air. It is also shown that the geographical boundary is highly related to the surface area of a dam. Finally, this model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estimate its boundary of hydrometeorologic changes by a new dam construction.

본 연구에서는 댐 건설 전후 수문기상자료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 댐 건설이 국지 수문기상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영향 범위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형화를 통해 댐 건설 전후의 수문기상변화에 대한 정량화를 수행하고자 하였으며, 댐의 영향 정도를 시공간적으로 정량화 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섬진강댐, 소양강댐, 안동댐, 충주댐 등에 적용하였으며, 실제 댐 건설로 인한 수문기상학적 영향이 미치는 한계 범위를 파악하였다. 댐의 범위별로 산정된 알베도와 재순환계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댐 건설 후 격자별 알베도와 재순환계수는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상관계수 0.88)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댐 건설에 따른 토지이용의 변화가 궁극적으로 수분의 재순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수문기상학적 영향범위와 댐 건설 후 생성되는 저수면적과 비교를 통해 저수면적과 영향범위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신규 댐의 건설시에 댐 건설로 생성이 예상되는 저수면적을 이용해서 수문기상학적 영향의 범위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남재철, 신만용, 윤진일(1995). '매시기상자료에 의한 안동지역 인공호 주변 안개발생 판별.' 한국기상학회지, 제31권 제4호, pp. 393-398
  2. 노용호, 조선형(1990). '충주댐 설치 전후의 기상요소 비교분석.' 과학교육연구소 논문집, 제13권, pp. 35-72
  3. 소선섭, 양문석(1993). '충주댐 건설전후 충주지방의 안개변화 특성.' 한국교육연구, 제25권, pp. 179-199
  4. 안재현, 유철상, 윤용남(2001). '물수지 방정식을 이용한 대청댐 건설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4권, 제3호, pp. 217-229
  5. 오성남, 이태영(1978). '지표부근의 수분요소와 가강수량과의 관계.' 한국기상학회 논문집, 제14권 제1호, pp. 37-46
  6. 윤진일, 황규홍, 전현향, 신만용, 임준택, 신진철(1997). '주암 다목적댐 건설에 따른 국지기후 변화가 농작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3권, 제3호, pp. 409-427
  7. 이승호(1998). '충주호 주변의 안개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제33권, 제2호, pp. 1-16
  8. 이종범(1981). '춘천지방의 인공호에 의한 안개 및 운량의 증가.' 한국기상학회 논문집, 제17권 제1호, pp. 18-26
  9. 이종범, 봉종헌, 조하만(1990). '댐 건설에 따른 국지기후의 변화 실태.' 기상연구논문집, 제7권, 제1호, pp. 75-81
  10. 조희구, 이승만(1982). '대기중의 물자원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 논문집, 제18권, 제2호, pp. 18-25
  11. 한국수자원공사(1997). 댐 건설 전후의 자연환경 변화에 관한연구, 건설부
  12. 한영호(1971).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가강수량에 관하여.' 한국기상학회 논문집, 제7권, 제2호, pp. 65-69
  13. 홍성길(1982). '안동댐 건설이후 안동지방의 안개 증가.' 한국기상학회 논문집, 제18권, 제2호, pp. 26-32
  14. Barek, J.(1983).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in tropical regions.' Developments in water science, 18,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V, Amsterdam, The Netherlands
  15. Benton, G. S., Blackburm, R. T. and Snead, V. O. (1950). 'The role of the atmosphere in the hydrologic cycle.' Eos Trans., AGU, 31(1), pp. 61-73 https://doi.org/10.1029/TR031i001p00061
  16. Budyko, M. I.(1986). 'The evolution of the biosphere', D. Reidel Publishing Co., Boston
  17. Budyko, M. I. and Drozdov, O. A. (1953). 'Characteristics ofthe moisture circulation in the atmosphere.' Izv. Akad. Nauk. SSSR Ser. Geogr. Geofiz., 4, pp. 5-14
  18. Entekhabi, D., Rodriguez-Iturbe, I., Bras, R, L.(1992). 'Variability in large-scale water balance with and surface-atmosphere interaction.' Journal of Climate, Vol. 5, pp. 789-813 https://doi.org/10.1175/1520-0442(1992)005<0798:VILSWB>2.0.CO;2
  19. Lettau, H., Lettau, K. and Molion, L. C. B. (1979). 'Amazinia' Hydrologic cycle and the role of atmospheric recycling in assessing deforestation effects.' Monthly Water Review, 107, pp. 227-237 https://doi.org/10.1175/1520-0493(1979)107<0227:AHCATR>2.0.CO;2
  20. Ponce, V. M., Lohani, A. K., Huston, P. T. (1997). 'Surface albedo and water resources : Hydroclimatological impact of human activities.' J.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2, No. 4, pp. 197-203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1997)2:4(197)
  21. Salti, E., Dall'Olio, A,, Matsui, E. and Gat, J. R. (1979). 'Recycling of water in the Amazon basin: and isotopic study.' Water Resources Research, 15(5), pp. 1250-1258 https://doi.org/10.1029/WR015i005p01250
  22. Salti, E. and Vose, P. B.(1984). 'Amazon basin: a system in equilibrium.' Science, 225(4,658), pp. 129-138 https://doi.org/10.1126/science.225.4658.129
  23. Stidd, C. K.(1975). 'Irrigation increases rainfall?' Science, 188, pp. 279-280 https://doi.org/10.1126/science.188.4185.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