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에서 나타나는 심성구조 및 특성

A specific character and structure of human nature in Confucian

  • 박영목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 발행 : 2005.09.01

초록

유학은 인간의 심성(心性)에 대한 탐구를 2,000여 년에 거쳐 해온 학문분야이다. 따라서 유학에서의 인간의 심성에 대한 관점과 연구방법은 현대의 감성과학에 적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유학에서의 인간심성을 유학의 전반적 개념과 퇴계 이황의 개념으로 고찰하여본 결과 현대의 감성과 유사한 정(情)이라는 개념이 있었으며, 본 마음(性)의 발로의 결과인 정의 좋음과 나쁨의 관점은 정이 발현되는 과정에서 좋은 정과 나쁜 정으로 구분된다고 하여 정의 형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이 왜곡됨 없이 발현된 정이 좋은 정, 즉 감성이라 하고 있어 현대의 감성의 호악과는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성을 파악하는 구조는 심성작용이 일어나는 형식구조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심성의 내용과 작용주체를 파악하기 위한 관점으로 파악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의 인지, 감성, 생리, 철학 등의 관점이 총체적 ·종합적인 관점으로 인간의 심성을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종합결론으로서는 유학에서도 인간의 심성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가 매우 오랜 기간 수준 높게 진행되었으며, 현재 감성과학에 부분적인 참고와 도움뿐만이 아니라 감성과학의 지향점을 찾는 데 중요한 관점과 지식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알 수 있었다.

With its history of two thousand years of studying the human mind, Confucianism may be applied to contemporary emotional science for its unique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in understanding the origin of the human mind. By examining the Confucian understanding of human mind according to general Confucian ideas as well as the scholar, LEE Whang's, an idea similar to contemporary 'emotion' in Confucianism was discovered. Importance of the sentiment was not in the resulting goodness originating from one's fundamental nature, but rather its goodness was only achieved when human nature manifested itself without any distortion. This good emotion, namely 'sensibility', presents the essential difference Confucian understanding bears in comparison to the contemporary concept. And the system for grasping the human mind was considered to be the viewpoint of examining the contents and subject of function than a formal system of functioning human mind. It assumes the stance of looking into thehuman mind from the general and synthetic view of contemporary cognitive, emotional, biolog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Overall, the researchconcludes that there existed a long history of high-level research into the human mind in Confucianism that may satisfactorily provide partial reference and understanding as well as consequent perspectives and knowledge for discovering the common denominator with the emotional scien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