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업용 저수지 내 침강지의 설치유형에 따른 수질정화효율 평가

The Evaluation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ies by Sedimentation Basin Types constructed at the Inlets of Irrigation Reservoirs

  • 장정렬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최선화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남귀숙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권순국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과)
  • 발행 : 2005.08.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용 저수지 유입부에 설치된 3가지 유형(준설형, 차수막형, 보조댐형)의 침강지에 대한 수질정화효율 평가와 수질정화효율 면에서 유리한 침강지의 유형과 적정규모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주요 수질 항목에 대한 정화효율과 침강지 설치전후의 퇴적물의 이화학적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질정화효율은 침강지 유형, 수질항목 및 조사시기에 따라 $-87\%$에서 $92\%$사이의 넓은 변동을 보였다. 농도회귀법(ROC)으로 평가한 설계정화효율은 준설형이 $18\%$, 차수막형이 $29\%$, 보조댐형이 $42\%$로 나타났다. 보조댐형에서는 퇴적물의 이화학적특성 변화가 있었으나, 다른 두 유형에서는 미미하였다. 정화효율, 배수면적 대 유역면적비(SAR), 체류시간 측면에서 비교한 결과, 보조댐형 침강지가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침강지는 저수지 수체와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이면서 SAR가 $0.7{\sim}1.0\%$ 정도인 규모가 적절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3 types of sedimentation basins: dredging, shield skirt and auxiliary dam, constructed at inlets of two irrigation reservoir and to estimate the most beneficial type and fitted size, SAR(surface to area ratio), for pollutant removal efficiency(RE). For this, RE of major water quality items and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sediments before and post construction of sedimentation basin(SB) were investigated. RE depended on SB types, water quality items and survey times with wide range from $-87\%$ to $92\%$. Long term overall removal efficiency by ROC(regression of concentration) method were $18\%$ in dredging, $29\%$ in shield skirt and $42\%$ in auxiliary dam type. There was a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sediments at auxiliary dam type, while a slight change at dredging and shield skirt type. In comparison to RE, SAR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at 3 types of SB, auxiliary dam type was the most beneficial one. Thus, it is recommended that SB would be constructed in completely separated structure from water body of a reservoir with SAR ranged from 0.7 to $1.0\%.$

키워드

참고문헌

  1. 남귀숙 (2003). 농업용저수지의 생물학적 수질정화 및 미생물군집동태.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pp. 202-219
  2. 농업기반공사 (2002). 농업용수 수질측정망조사보고서. 농림부, pp. 13-15
  3. 박병흔, 장정렬, 권순국 (2000). '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한 저수지내 침전지 조성.'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학회, 제42권, 제1호, pp. 73-82
  4. 이재수, 김영철 (2001).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 유역으로부터 비점원오염물질 유출특성 및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체류지 용량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5-B호, pp. 575-588
  5. 이종태, 송치홍, 강태호 (2000). '저류지에 의한 우수의 수질개선 효과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 351-364
  6. 장정렬, 최선화, 권순국 (2004). '저수지내 유입부 침강지의 수질정화 효율.'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0권, 제5호, pp. 473-479
  7. 환경부 (2004). 2004 환경백서. 대양인쇄소, pp. 445-447
  8. 황순진, 안광국, 류재근(역자) (2002). 호소생태학(원저자: Thornton, K. W., Kimmel, B. L., and Payne, F. E.). 신광출판사, pp. 70-107
  9. Borden, R. C., J. L. Dorn, J. B. Stillman and S. K. Liehr (1998). 'Effect of in-lake water quality on pollutant removal in two pond.'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124, No. 8, pp. 737-743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1998)124:8(737)
  10. EPA (1999). Storm Water Technology Fact Sheet : Wet Detention Pond, EPA832-F-99-048, Washington D.C.
  11. Feild, R., M. L. O'Sea and K. K. Chin (1993). Integrated Stormwater Management. Lewis publisher, New York, N.Y., pp. 191-205
  12. Guo, Y. and B. J. Adams (1999). 'Analysis of detention ponds for storm water quality contro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5, No.8, pp. 2447-2453 https://doi.org/10.1029/1999WR900124
  13. Martin, E. H. (1988). 'Effectiveness of an urban runoff detention pond-wetlands system'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114, No. 4, pp. 810-827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1988)114:4(810)
  14. Mays, L. W. (1999). Hydraulic design handbook. McGraw-Hill, New York, N.Y., pp. 14.77-14.92
  15. Morris, G. L. and J. Fans (1998). Reservoir sedimentation handbook. Mcgraw-Hill, New York, N.Y., pp. 12.39-12.55
  16. Wu, J. S., R. E. Holman and J. R. Dorney (1996). 'Systematic evaluation of pollutant removal by urban wet detention pond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122, No. 11., pp. 983-988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1996)122:1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