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정상 및 비정상상태 하천수질모형의 비교

Comparison of Steady and Unsteady Water Quality Model

  • 고익환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수자원시스템연구소) ;
  • 노준우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김영도 (인제대학교 환경공학부)
  • Ko, Ick-Hwan (Hydro-systems Engineering Center,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
  • Noh, Joon-Woo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
  • Kim, Young-Do (Schoo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발행 : 2005.06.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대표적인 하천수질모형을 비교${\cdot}$분석하였다. 정상상태 모형으로는 QUAL2E, 비정상상태 모형으로는 CE-QUAL-RIV1을 선택하여 동일한 반응계수 및 경계조건 하에서 두 모형의 계산결과를 서로 비교해 보았다. 각 모형에 대하여 수질변동을 계산하기 위해 적용된 방정식을 서로 비교하였으며, 두 가지 수질모형을 이용하여 대청댐 이하 금강본류의 수질을 모의하였다. 두 모형은 기본 알고리듬이 매우 유사하므로, 모형구축에 필요한 입력자료도 매우 비슷하였다. 정상상태로 모의한 경우에 대하여 두 모형의 결과값은 BOD와 DO, 및 $NH_3-N$의 경우에 대하여서는 매우 일치도가 높았다. 그러나 용존인과 같은 특정한 수질인자 항목은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모의결과를 바탕으로 두 모형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수질항목에 대해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매개변수를 도표화하여 정리하였다.

Two representative river water quality models have been compared in this paper. The steady water quality model, QUAL2E, and the unsteady model, CE-QUAL-RIV1, have been chosen for comparative simulations. Under same reaction coefficients and boundary conditions, the water quality of the Geum river below the Daechung dam has been simulated using two different models, and the water quality equations are compared each other. Since basic model algorithm is very close, the input data required for model run is very similar. Upon the simulation under steady condition, the results of two models show very good agreement especially for BOD, DO, and $NH_3-N$, while the results of specific constituent such as dissolved P is quite different. As a result, dominant water quality parameters to compute each corresponding water quality variables are summarized and tablized through the sensitivity analysis.

키워드

참고문헌

  1. 서동일, 이은형 (2003). '불연속적으로 흐르는 소하천을 위한 CAP 수질 모델의 개발.' 상하수도학회지, 17(3), pp. 372-377
  2. 서동일, 이종현, 이은형, 고익환 (2004a). 'CAP을 이용한 금강하류의 수질 모델링 및 오차 원인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6(8), pp. 941-949
  3. 서동일, 이종현, 이은형, 고익환 (2004b). 'QUAL2E를 이용한 금강하류의 수질 모델링 및 오차 원인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6(8), pp. 933-940
  4. 정세웅 (2004). '저수지 플러싱 방류 효과분석을 위한 비정상상태 하천수질모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7(10), pp. 857-868 https://doi.org/10.3741/JKWRA.2004.37.10.857
  5. 한국수자원공사 (2004). 실시간 물관리 운영시스템 구축기술개발: 비정상상태 하천수질 예측모형구축.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보고서 1-6-1
  6. Linfield, B. and Barnwell, T. (1987). The Enhanced Stream Water Quality Models QUAL2E and QUAL2E-UNCAS: Documentation and User Manual, USEPA/600/3-87/007. USEPA, Env. Res. Lab., Athens, GA
  7. Environmental Laboratory, U.S. Army Corps of Engineers, WES. (1995). CE-QUAL-RIV1: A Dynamic, One-Dimensional (Longitudinal) Water Quality model for Streams User's Mannual. USACE, WES, Vicksburg, MS
  8. Chapra S.C. and Pelletier G. (2003). QUAL2K: A Modeling Framework for Simulating River and Stream Water Quality Documentation and Users Manual. USEPA, Env. Res. Lab., Athens, GA

피인용 문헌

  1.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ing for gate operation: A case study for the Seonakdong River basin in Korea vol.18, pp.1, 2014, https://doi.org/10.1007/s12205-013-0025-6
  2. Water quality projection in the Geum River basin in Korea to support integrated basin-wide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73, pp.4, 2015, https://doi.org/10.1007/s12665-014-3524-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