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계측 지점에서의 유출 모의 및 예측

Runoff Simulation and Forecasting at Ungaged Station

  • 안상진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최병만 (충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연인성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곽현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발행 : 2005.06.01

초록

유량과 수질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천의 실시간적 관리를 위해서는 유량과 수질의 측정이 동일한 지점에서 동시간적으로 이루어져야 보다 효과적이다. 그러나 수질자동측정망 지점과 T/M 수위관측소가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들이 있으며, 평창강 수질자동측정망 지점이 그 중 하나이다. 이러한 지점에서는 보다 정확한 유량 산정과 이를 활용한 예측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미계측 지점인 평창강 수질자동측정망 지점에 유량예측 신경망 모형을 적용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WMS 모형의 모의결과와 비교하였다. WMS 모형은 첨두유량이 작고, 수문곡선이 단조로운 사상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망 모형의 유출량 예측값은 비유량과 WMS 모형의 모의값에 근사하였으며, 미계측 지점에서의 유출량 변화성향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discharge and water quality. The observation of discharge and water quality are effective at same point as well as same time for real time management. But no less significant is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of real 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far from the T/M water stage. Pyeongchanggang station is one of them. In this case, it need to observe accurate discharge data, and to develop forecasting program or system using real time data. In this paper, discharge on Pyeongchanggang station was calculated by developed runoff neural network model, and compared with discharge using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model. WMS shows better results when peak discharge is small and hydrograph is smooth. Forecasted discharge of neural network model have achieved the highest overall accuracy of specific discharge and WMS. Neural network model forecast change of discharge well on unrecored s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관원, 박찬영, 김주환 (1992). '패턴인식방법을 적용한 하천유출의 비선형 예측.'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5권, 제3호, pp. 105-113
  2. 김경탁 (1998). 'GIS 적용에 따른 유출응답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3. 김만식 (1998). '다목적 저수지의 홍수유입량 예측을 위한 신경회로망.'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4. 김성원 (2000). '하천유역에서 홍수유출량의 예측을 위한 신경망기법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6-B호, pp. 801-811
  5. 신현석, 최종남, 박무종 (1998). '신경망을 이용한 비선형 강우 및 홍수 유출 실시간 예측 모형.'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III), 대한토목학회, pp. 185-188
  6. 안상진, 김영호 (2003). 'WMS를 이용한 강우-유출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4B호, pp. 261-270
  7. 안상진, 연인성, 김진극, 연규방 (2001). '실시간 유량 예측을 위한 신경망 구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 한국수자원학회, pp. 110-115
  8. 오경두, 전병호 (1994). '미계측 중소유역 유출 시물레이션을 위한 신경회로망 모형의 적용.' 제36회 수공학연구발표회논문집, 한국수문학회, pp. 317-323
  9. 조홍제, 김정식 (1997). 'TIN을 이용한 SCS법에 의한 유효강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4호, pp. 357-366
  10. 함창학 (1996).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수문지형정보 추출에 관한 기초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11. Berich, R.H. (1985). 'A Micro-computer GIS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Water Resource Engineering Conference, ASCE, pp. 58-67
  12. Karunanithi, N. (1994). 'Neural Networks for River Flow Prediction.'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ASCE, Vol. 8, No.2, pp. 201-219 https://doi.org/10.1061/(ASCE)0887-3801(1994)8:2(201)
  13. Shim, K.C. (1999).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Integrated RiverBasin Flood Control. Thesis, Colorado State Univ., Fort Collins, Colorado
  14. Smith, J. and Eli, R.N. (1995). 'Neural-network Models of Rainfall-runoff Proces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1, No. 6, pp. 499-508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5)121:6(499)
  15. Yu, Z., Lakhtakia, M.N., Yarnal, B., and White, R.A. (1999). 'Simulating the River-basin Response to Atmospheric Forcing by Linkinga Mesoscale Meterological and Hydrologic Model System.' Journal of Hydrology, Vol. 218, pp. 72-91 https://doi.org/10.1016/S0022-1694(99)00022-0
  16. Zhang, B. and Govindaraju, R.S. (1998). 'Using Modular Neural Networks to Predict Watershed Runoff.' Water Resource Engineering Conference, ASCE, Vol. 1, pp. 879-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