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and Art: Some Preliminary Studies in their Convergence and Interfaces

과학과 예술: 그 수렴과 접점을 위한 시론

  • 홍성욱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In recent times, artists rely increasingly on science and technology, whereas scientists frequently use such an aesthetic tenn like 'eauty.' This shows that the gap between the 'two cultures' are narrowing down due to the necessity of both sides. The historical interaction between science and art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by the historians of art and those of science. As the complexities of scientific and artistic practices were uncovered, similarities between them were also revealed. The goals of this paper, which explores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s between science and art, are the following three. The first i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wo cultures (i.e., science and art) by disclosing the mutual influences between them. Second, drawing on recent works on the nature of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this paper aims to show some similarities and even common factors between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Finally, by highlighting similarities and common elements between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this paper will emphasize the role of imagination, insight, emotion and visualization not only in art but also in science.

최근 들어 예술가들은 과학과 기술에 더 많이 의존하고, 과학자들은 '아름다움'과 같은 미학의 언어를 더 자주 사용하고 있다. 양쪽 모두의 필요에 의해서 '두 문화'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있으며, 과학과 예술 사이의 상호작용이라는 주제는 최근 미술사학자들은 물론 과학기술사학자들에 의해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과학적 실행(practice)의 다양성과 복잡성이 밝혀지면서, 서로 전혀 다른 것이라고 간주되던 과학적 실행과 예술적 실행 사이의 유사성도 지적이 되었다. 과학과 예술의 관련과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본 논문은 아래와 같은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목적은 과학과 예술이 서로 상대의 영역에 미친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과학과 예술이라는 두 문화 사이에 놓여있는 간극을 좁히고 공동 관심사와 중첩된 영역을 드러냄으로써 서로에 대한 관심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과학적 실행과 예술적 실행에 대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서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의 본질에 한 발 더 접근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 사이에 상당한 유사성과 심지어 공통점이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이 연구의 세 번째 목적은 과학과 예술의 창의성의 공통점을 조명함으로써 예술과 마찬가지로 과학에서도 '상상력', '직관', '감정', '시각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