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Status of Cardiopulmonary Perfusionists in the Republic of Korea

한국 체외순환사의 현황과 문제점 - 주요 외국 국가들과의 비교 분석 -

  • Kim Won G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원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심장연구소)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a perfusionist is to operate the heart-lung bypass machine during open heart surgery, which is vital for the successful operative outcome. However, despite the perfusionist's crucial role on the cardiac surgical team, no relevant studies have not yet been conducted in our country.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performed about the current status of perfusionists in Korea with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ertification and education system of perfusionists in foreign countries. Material and Method: We analyzed the demographic data on the Korean perfusionists conducted in 1994 and 2003, with comparison of recent data on the perfusionists of the nineteen foreign countries. Result and Conclusion: Although all agree that professionalism and responsibility of the perfusionist are essential in conducting a cardiac procedure and bringing about successful outcome, the formally approved training and certification system for perfusionists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in Korea. Adequate measures should be done as soon as possible in order to try to obtain the adequate recognition of the profession.

체외순환사(perfusionists)는 인공심폐기 작동 및 관리를 통한 개심술 지원을 주 임무로 하는 의료기사 영역 중 가장 생명과 밀접된 업무를 다루는 직종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체외순환사에 관한 구체적 현황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고 이에 따라 체외순환사 자격 제도의 확립이나 체계적인 교육 과정 정립 등에 관한 논의가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한국의 체외순환사 현황을 미국, 일본 및 유럽 주요 국가들의 현황과 비교 분석함으로서 향후 국내 체외순환사 제도의 체계적 정립과 함께 궁극적으로는 심페바이패스학의 발전에 일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2003년 두 차례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된 한국 체외순환사 현황을, 문헌 및 통신 조사로 이루어진 미국, 일본 및 유럽 주요 국가 17개국 등 총 19개국의 체외순환사 현황과 비교 분석 연구하였다. 결과 및 결론: 현재 국내 체외순환사 제도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은 크게 (1) 자격제도의 부재, (2) 교육제도의 부재, 그리고 (3) 인력수급의 예측 부재 등 3가지로 요약된다.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학회 인준 체외순환사 제도의 확립과 이에 따른 체외순환사 양성 교육 및 재교육 과정의 정립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Lee YK, Suh KP, Kim JW, Rho JR, Kim SH. Annual open heart surgery: report of 206 cases in 1978.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1979;12:247-58
  2. Clark RE, Magovern GJ. Training and certification of cardiovascular perfusionists. J Thorac Cardiovasc Surg 1982;83:324-5
  3. Miller DW Jr, Binford JM, Hessel EA II. Results of a survey of the professional activities of 811 cardiopulmonary perfusionists. J Thorac Cardiovasc Surg 1982;83:385-9
  4. Boberg JT. Allied health education and accreditation. JAMA 1985;254:1605-10 https://doi.org/10.1001/jama.254.12.1605
  5. Anderson RP. Nolan SP, Edmunds LH Jr, Rainer WG, Brott WH. Cardiovascular perfusion: evolution to allied health profession and status 1986. J Thorac Cardiovasc Surg 1986;92:790-4
  6. Plunken PF. Perfusion education in the USA. Perfusion 1997;12: 233-41 https://doi.org/10.1177/026765919701200405
  7. Arsenault PR. The role of perfusionist. J Intraven Nurs 2000;23:99-104
  8. 武田正則. 人工心肺技士の現狀 と 問題點. 病院 1993;52: 737-9
  9. 武田正則. 日本體外循環技術硏究會における 臨床工學技 士の現況. 臨牀透析 1993;9:5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