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단독주택 공부방의 조명환경 실태조사

Actual Conditions on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of the Study Rooms in the Detached House

  • 발행 : 2005.11.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단독주택 공부방을 대상으로 조명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부방은 주로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배광방식은 직접조명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국부조명을 사용하는 비율은 48.2[%]로 시작업이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내부공간 조도는 평균 131.41[lx]이며, 책상면 조도는 322.57[lx]로 최저허용조도의 54[%]에 해당하는 열악한 실정이었다. 또한 사용자의 조명환경에 비해 만족도는 높아 조명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illumination environment of study rooms in detached houses. From the results, fluorescent lamp as a lighting source and direct lighting method were mainly used. The additional use of local lighting was 48.2[%], and it was not efficient for detailed work. The average illuminance of general lighting and local lighting were 131.41[lx] and 322.57[lx], respectively, and these level were only 54[%] of the lowest illumination standard. This indicates that the lighting levels and the environment are so poor. The satisfaction level of users, however, was relatively high, suggesting insufficient recognition of importancy of lighting for efficient work.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현지, 안옥희, '실내공간에서의 인공조명 균제도 산출 방법에 대한 일고찰', 한국조명.전기설비 학회지 13(2), pp.7-11, 1999. 5
  2. 송희영, '어린이방의 실내공간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논문, 1987
  3. 안옥희, '합리적인 조명환경-주택조명', 한국조명.전기설비 논문지 13(1), pp.3-8, 1999. 3
  4. 지철근, '우리나라 주택조명 실태조사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 학회지 2(1), pp.59-64, 1988
  5. 한국공업규격, 조도기준 KS 규격 KS A 3011, 1994
  6. 한영석, '학습을 위한 교실 및 공부방의 조명환경 실태 분석', 충주대학교 전기공학 석사논문, 2002
  7. John Auto, 상게서 재인용, 1973
  8. John E. Kaufman, Pe., Files, IES Lighting Handbook, New York: IES of North America, 1993
  9. 日本照明學會編, Lighting Handbook, 東京: オ-ム社, 1987
  10. 日本照明學會編, 光をはかる, 東京: 日本理工出版會,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