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물자원화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제13권3호
- /
- Pages.105-118
- /
- 2005
- /
- 1225-6498(pISSN)
- /
- 2508-3015(eISSN)
음식물류폐기물 발생량 표본조사를 통한 통계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Food Waste Statistics System Through a Sample Survey
- Kim, Young Koo (D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of Technology) ;
- Phae, Chae Gun (D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of Technology) ;
- Ryu, Ji Young (Dpt. of Life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
- Shin, Dae Yewn (Dpt. of Life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 투고 : 2005.08.25
- 심사 : 2005.09.25
- 발행 : 2005.09.30
초록
본 연구는 현행 음식물류폐기물 통계 체계 문제점 및 개선점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4개 지역(고밀도, 중밀도, 중저밀도, 저밀도)을 대상으로 4계절에 걸친 표본조사를 실시하여 배출원별 원단위에 근거한 산출방식으로 해당 지역의 전체 발생량을 추론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발생량과 현행 통계상에서 제시하고 있는 발생량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이와 함께 112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음식물류폐기물 산정 범위 및 방식 분석 등을 통해 국내 음식물류폐기물 통계 체계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검토 하였다. 112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결과를 보면, 음식물 통계 산출 기준은 크게 5가지로 분류 된다. 대도시 및 중소도시의 경우, 자원화시설 반입량에 근거하는 지자체가 가장 많았으며, 도농지역 및 농어촌도시 일수록 원단위 발생량을 통한 추정에 의해 통계 산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 지역의 음식물류폐기물 발생량 표본조사 분석결과는 통계상에서 제시하는 결과와 10%~40%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기존 통계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던 미분리배출량의 포함이 가장 큰 이유로 판단된다. 또한, 분리배출량에 근거하여 발생량을 산출하는 지역이 원단위발생량을 이용하여 발생량을 단순 추정하는 지역에 비해 표본조사와 통계 자료 간 편차가 더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rovements of existing food waste statistics system using a sample survey, which estimated the total food waste generation in 4 areas(High, Middle, Middle and Low, and Low population density), and a survey, which was aimed at forming a basis for modeling 112 local governments, were conducted. Currently, the methods for collecting the statistical data are summarized as five types. In high population density areas, the type based on examining the recycling facilities was found to be a more general way of estimating population centers higher than low population density areas. It was found that numerous low population density areas estimated their food waste production according to its generation per capita. It was also found that the findings of sample survey were 10%~40% higher than the existing statistical data and Non-separated collected food waste appears to be the main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