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증의 정신증 후 우울장애의 예측인자

Prognostic Factors in Postpsychotic Depressive Disorder of Schizophrenia

  • 김진성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종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서완석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구본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배대석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이영 (대한정신보건가족협회 대구광역시협회 부설 대구재활센터) ;
  • 김정엽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im, Jin-Su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Jong-Bum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eo, Wan-Seok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oo, Bon-Hoo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Bae, Dae-Seok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Yi-Youg (Daegu Psychiatric-Rehabilitation Center) ;
  • Kim, Jung-Youp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발행 : 2005.12.30

초록

이 연구는 2003년 8월에서 2004년 8월까지 회복기 혹은 급성 정신병적 증상이 호전 된 뒤 사회복귀시설 혹은 낮 병원 등에서 재활치료 혹은 훈련을 받고 있는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주관적 및 객관적 우울증상의 정도와 그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통계학적 요인, 임상적 요인 그리고 병식 등을 조사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의 우울증상에 영향일 미칠 수 있는 주요 요인들을 찾고 자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선발을 위해 PANSS, 추체외로증상 평가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주관적 우울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BDI와 ZDS, 객관적 우울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HDRS와 CDSS, 병식 평가를 위해 KISP가 사용되었다. 최종 선발된 연구대상자는 80명이었으며, 남자가 56명(70.0%), 여자가 24명(30%), 평균 연령은 35.10세, 표준편차는 6.58이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증상을 비교한 결과, 관찰자에 의한 객관적인 우울증상 비교에서 여자(CDSS; $7.00{\pm}3.33$, HDRS; $12.25{\pm}6.77$)가 남자(CDSS; $2.86{\pm}3.29$, HDRS; $6.21{\pm}6.9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CDSS; p<0.001, HDRS; p<0.01). 교육수준에 따른 비교에서, BDI에서 중졸($24.80{\pm}19.20$), 고졸($11.10{\pm}9.51$), 전문대졸 이상($9.67{\pm}11.83$)의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임상적 특성에 따른 우울증상의 비교한 결과, 발병 연령대와 관련한 분석에서, BDI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20대 이후($23.75{\pm}15.31$), 20대 미만($16.45{\pm}13.97$), 20대($9.12{\pm}9.02$)의 순이었다. 자살시도 여부와 관련하여서는 HDRS에서 자살시도를 한 적이 있는 집단이($17.60{\pm}10.92$)이 그렇지 않았던 집단보다($6.66{\pm}5.72$) 성적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각 척도에서 절단 점수 이상의 성적을 받은 연구 대상자는 BDI 20명(25.0%), ZDS 16명(20.0%), CDSS 18명(22.5%) 그리고 HDRS에서는 6명(7.5%)이었다. 각 우울척도의 성적에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임상적 요인, KISP의 성적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BDI에서는 KISP와 학력(p<0.05), ZDS에서는 KISP와 종교(p<0.05), CDSS에서는 성별과 KISP, 그리고 HDRS에서는 자살시도 여부와 성별(p<0.05)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factors of postpsychotic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pati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diagnostic criteria from the DSM-IV, PANSS and ESRS. For all patients information was collected on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ive depressive symptoms and the objective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patients insight regarding psychosis were evaluated. The subjective depressive symptoms were evaluated by BDI and ZDS; the objective depressive symptoms were evaluated by HDRS and CDSS, and patient insight into the psychosis was evaluated by KISP. Results: The comparisons using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HDRS and CDSS ha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gender and suicide attempts; the BDI was associated with difference in education level and age of onset. The patients with scores above cuff-off score for each scale were 20(25.0%) for the BDI, 16(20.0%) for the ZDS, 18(22.5%) for the CDSS and 6(7.5%) for the HDRS. The results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cores for the KISP, education levels, gender and suicide attempts were the main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the psychotic depressive disorder of schizophrenia. Conclusion: The main prognostic factors in psychotic depressive disorder of schizophrenia included: insight into psychosis, suicidal attempts. Insight into the psychosis was the most reliable prognostic factor but this characteristic had a negative relationship to the with depressive symptom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