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화적 시술을 받은 악성 위장관 폐색 말기 암환자의 임상적 예후인자

Clinical Prognostic Facto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Palliative Procedures for Malignant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 문도호 (샘안양병원 내과학교실) ;
  • 최화숙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Moon, Do-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am Anyang Hospital) ;
  • Choe, Wha-Sook (Graduate School of Clinical Health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 발행 : 2005.12.03

초록

목적: 악성 위장관 폐색 환자에서 완화적 시술이나 수술은 폐색의 다양한 증상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는 완화적인 시술을 받았던 악성 위장관 폐색 말기암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에서 악성 위장관 폐색으로 진단받아 완화적인 시술을 받았던 48명의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완화적인 암절제 환자는 제외하였다. 임상적 특성과 시술내용을 조사하였고 예후인자는 log-rank test를 이용한 단변량 분석을 하고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인자는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사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령의 중앙값은 65세이고 남자가 25명(52%), 여자가 23명(48%)이었다. 가장 많은 암은 대장직장암으로 26명(55%)이고 다음으로 10명(21%)의 위암이었다. 치료를 전혀 받지 않았던 환자는 25명(58%)이었고 20명(42%)은 치료를 받았으며 이 중 18명은 항암 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있었다. 가장 흔한 증상은 통증으로 15명(31%)이었다. 활동도 1점 혹은 2점이 23명(48%), 3점 혹은 4점이 25명(52%)이었다. 가장 많은 완화적인 시술은 대장루술로 19명이 받았다. 완화적 시술로 인한 사망은 없었다. 단변량과 다변량 분석에 의해서 전체 생존기간과 무증상 생존기간에 대하여 활동도 만이 의미있는 독립 예후인자였다. 전체 중간 생존기간은 150일이었으며 무증상 중간 생존기간은 90일이었다. 결론: 완화적 시술을 받은 악성 위장관 폐색 환자의 전체 중간 생존기간과 무증상 중간 생존기간에 대하여 활동도만이 유일한 독립 예후인자였다.

Purpose: Palliative procedures or surgical interventions not only manage various symptoms of malignant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but als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palliative procedures for malignant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48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palliative procedures for malignant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at Sam Anyang hospital from May in 2002 to May in 2005. We excluded patients with palliative tumor resection. We analyzed prognostic factors in symtom-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using Kaplan-Meier metho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There were 25 males (52%) and 23 females (48%), and median age of 48 patients was 65 years. The most common cause of malignant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was colorectal (26 patients, 55%), followed by stomach (10, 21%). Twenty patients (42%) received previous treatment (chemotherapy, surgery, and radiotherapy) and 28 (58%) never received any. Eighteen of 20 had received chemotherapy. The most common symptom was pain (15 patients, 31%). Twenty three patients (48%) had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ECOG) performance status of 1 or 2 score and 25 patients (52%) 3 or 4 score. The most common palliative procedure was colostomy and there was no mortality concerning the palliative procedures.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performance status was the only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overall survival and symptom-free survival. Overall survival was 150 days and symptom-free survival was 90 days.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perftatdormance status is significan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palliative procedures for malignant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