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운영체제를 위한 자원관리기법 연구

  • 김동근 (전남대학교 리눅스보안연구센터) ;
  • 김정순 (전남대학교 리눅스보안연구센터) ;
  • 이승용 (전남대학교 리눅스보안연구센터) ;
  • 김민수 (목포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 노봉남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 Published : 2005.04.01

Abstract

각종 침해사고에 대하여 보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최근 많은 기술들이 안정된 서버의 운영을 위하여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들 기술과 운영체제의 통합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보안기능이 강화된 운영체제인 보안운영체제는 각종 침입에 대비하여 효율성과 보안성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운영체제가 제공해야할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자원관리는 효율성과 보안성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본 고에서는 현재의 리눅스와 유닉스의 자원관리기법을 살펴보고 보안운영체제가 제공해야할 자원관리기법에 대해 고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KISA, 기반보호기술 (침입감내기술), http://www.kisa.or.kr/ISTD/ISTD_m_01_02.html. 2004
  2. Sun Microsystems. Inc., Solaris 10 Resource Manager Developer's Guide. January 2005
  3. Sun Microsysterns. Inc.. Resource Management in the Solaris 9 Operating Environment. September 2002
  4. Shailabh Nagar. Rik van Riel. Hubertus Franke. Chandra Seetharaman. Vivek Kashyap, Haoqiang Zheng, 'Improving Linux resource control using CKRM', July 21th-24th 200
  5. Daniel P. Bovet & Marco Cesati, Understanding the Linux Kernel 2nd Edition. O'Reilly. September 2002
  6. Linux Programmer's Manual. Linux Man Pages - setrlimit. getrlimit. rusage. ulimit
  7. Mark Mitchell. Jeffrey Oldham. and Alex Samuel. Advanced Linux Programming. New Riders. June 2001
  8. Hubertus Franke. Shailabh Nagar. Chandra Seetharaman. Vivek Kashyap Rik van Riel. IBM Corp., Red Hat., Advanced Workload Management Support for Linux. 2004
  9. Shailabh Nagar. Hubertus Franke. Jonghyuk Choi. Chandra Seetharaman. Scott Kaplan. Nivedita Shinhvi Vivek Kashyap. Mike Kravetz. Class-based Prioritized Resource Control in Linux, IBM Corp., 2003
  10. Malicious and accidental-fault tolerance for internet applications. http://maftia.org. IST Programme RTD Research Project. 1999
  11. L. Blain and Y. Deswarte. An intrusion tolerant security server for an open distributed system. In 1st European Symposium in Computer Security. Toulouse. France. 1990
  12. C. Cachin and J. A. Poritz. Secure intrusion-tolerant replication on the internet. In 2002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pendable Systems and Networks (DSN'02). Washington D.C. USA. June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