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uminescence Dating for a Relict Dune from the Sindu Dunefield

신두리 지역의 고사구(古砂丘)에 대한 OSL 연대 측정

  • Seo, Jong-Cheo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서종철 (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To find out the buried age of the relict dune sediments, a luminescence dating bas conducted for a relict dune from the Sindu dunefield on the Taean Peninsula. It shows that the deposition of the dune sands at 3m depth began about 690$\sim$730 years ago. From 3m to l.5m depth, the lower part of the dune bas remained stable, but a relict dune deposit appear at 1.3m depth. This part yields an age of about 68 years. The two samples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dune at depths of the 1.5 m and 3.0 m below the surface show a net accumulation rate of around 0.75 cm/y which is relatively slow for a coastal dune. The chronology obtained i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significant amount of sediments has been replaced or remobilized in the area over the past 1000 years, and there was at least a soil formation process during the same time period. These suggest that a new approach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ormation age of the so-called paleo-dune at the Sind dunefield.

태안반도 신두 해안사구지대의 중앙부에서 고사구층으로 판단되는 퇴적물의 퇴적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OSL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조사 지점 최하부에서의 사구사 퇴적은 대략 680$\sim$730년 전으로, 1.5m 깊이에서는 480$\sim$610년 전으로 나타났다. 반면 1.3m부근의 암갈색 퇴적층을 사이에 두고 1.2m 깊이 퇴적층에서의 산출연대는 123$\sim$151년 전으로, 최상부 퇴적물의 연대는 약 68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구 표면으로부터 1.5m와 3m 깊이에서 채취한 두개의 시료는 200년 정도의 연대 차이가 있다. 이에 의하면 사구사의 집적율은 연간 약 0.75cm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연대를 추정한 사구사 퇴적층은 1개 지점에 불과하지만, 이를 토대로 볼 때, 지난 1,000년간 상당한 양의 사구사가 퇴적되었거나 재이동되었고, 적어도 한번의 토양화과정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지금까지 플라이스토세나 홀로세 초기로 알려진 고사구층의 형성 연대에 대한 연구가 다시 시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