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명환(1992) 지역복지지표의 설정과 그 적용. 한국행정학보 26(2): 697-707
- 김세천(1996) 국립공원 개발에 따른 경관영향평가치에 관한 연구 -덕유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85(2) : 195-209
- 김준호(1997) 도시생태계의 정의와 범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2): 217-223
- 김창학, 강인석, 박서영(2002) 대형건설공사 위험인자의 중요도 판정을 위한 퍼지 평가모형 적용성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2(5-D): 923-933
- 김태일(1999) 수리적 기법에 의한 평가모형체계의 가중치 부여 방식에 관한 논의. 한국행정학보 33(4): 243-258
- 나정화(1999) 대곡수목원조성에 따른 비오톱 구조 분석. 한국정원학회지 17(4): 167-172
- 나정화, 류연수(2003) 도시 경관생태계획 지표 설정 및 중요도 평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8(1): 21-35
- 박문호(1996) 도시공원 조성의 우선순위 결정에 있어서 계층 분석과정 기법의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24(1): 42-54
- 박찬정(2001) 기업의 성과측정과 경쟁력 평가를 위한 퍼지 모형. 회계연구 6(2): 4-27
- 변우희, 노정철, 최학수(2002) 퍼지수에 의한 사이버 관광교육 이용자 가치평가. 관광학연구 26(2): 139-158
- 양병이, 이관규(2000)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녹지 평가모형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28(2): 97-107
- 엄붕훈, 우형택(1999) 한국형 전원주택단지의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1): 64-78
- 위인선, 백순기, 이종빈, 나철호(1991) 수환경 오염에 대한 수서곤충 지표종에 관한연구 -영산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물학회지 9(1): 42-54
- 유주한, 정성관(2002) 자연자원 보전지역의 평가모형 -내셔널 트러스트 후보지 선정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2) : 39-49
- 이관규. 양병이(2001) 환경평가를 위한 지표의 가중치 산정 방법 결정 모형. 환경영향평가 10(1): 59-71
- 이기철, 김경완(2001) 미개발 근린공원의 개발 우선순위 결정. 한국조경학회지 29(1): 80-91
- 이석훈, 윤덕균(2004) 삼각퍼지수와 어의척도를 이용한 서비스 품질 측정. 품질경영학회지 32(3): 182-197
- 이재준(2001) 생태마을 사례분석과 전문가 및 거주자 의식 조사를 통한 계획방향 설정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6(6): 23-39
- 이진춘, 권중생(1993) 신경증적 성격특성치 평가에의 퍼지 적분의 응용. 경영과학연구 2: 73-94
- 이진춘(1999) 퍼지적분을 이용한 관능검사치의 정량화. 경일대학교 논문집 16: 1-11
- 임신재, 이우신(1999) 활엽수 천연림지역에서 서식지 구조에 따른 소형 포유류 개체군의 차이. 한국임학회지 88(2) : 179-184
- 정성관, 유주한(2003) 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통합 평가모형 - 내셔널 트러스트 후보지 선정을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12(2): 87-98
- 조명래(1999) 새로운 시민환경운동으로 National Trust 운동의 이해와 활용.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1(2): 25-39
- 하성규, 김태섭(2001) 주민중시형 주택재개발 요인 설정과 중요도 조사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6(6): 83-97
- 한봉호, 이경재(2001) 생태적 특성에 따른 산림녹지의 관리방안 -부천시의 사례-. 한국조경학회지 29(1): 51-66
- Buckley, J. J.(1985) Rarking alternatives using fuzzy numbers. Fuzzy Sets and Systems 15: 21-31 https://doi.org/10.1016/0165-0114(85)90013-2
- Cook, E. A. (2002) Landscape structure indices for assessing urban ecological network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 269-280 https://doi.org/10.1016/S0169-2046(01)00226-2
- Enea, M. and G. Salemi(2001) Fuzzy approach to the environmental impact evaluation. Ecological Modelling 135: 131147
- Gluck, P.(2000) Policy means for ensuring the full value of forests to society. Land Use Policy 17: 177-185 https://doi.org/10.1016/S0264-8377(00)00018-1
- Iverson, L. R. and A. Prasad(1998) Estimating regional plant biodiversity with GIS modelling. Diversity and Distribution 4: 49-61 https://doi.org/10.1046/j.1472-4642.1998.00007.x
- Klijn, K.. A. Helias, and U. Haes(1994) A hierarchical approach to eco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ecological land classification. Landscape Ecology 9(2): 89-104 https://doi.org/10.1007/BF00124376
- Malone, C. R.(2000) Ecosystem management policies in state government of the USA. Lanscape and Urban Planning 48: 57-64 https://doi.org/10.1016/S0169-2046(00)00043-8
- Silvert, W.(2000) Fuzzy indice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Ecological Modelling 130: 111-119 https://doi.org/10.1016/S0304-3800(00)00204-0
- Tompson, S., K. McElwee, and J. T. Lee(2001) Using landscape characteristics for targeting habita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 case study of ancient semi-natural woodland in the Chiltern Hills area of outstanding natural beauty. UK. Landscape Research 26(3): 203-223 https://doi.org/10.1080/01426390125623
- Wu, H., B-L. Li, R. Stoker, and Y. Li(1996) A semi-arid grazing ecosystem simulation model with probabilistic and fuzzy parameters. Ecological Modelling 90: 147-160 https://doi.org/10.1016/0304-3800(95)00162-X
- Zadeh, L. A. (1973) Outline of a new approach to the analysis of complex systems and decision process. IEEE Trans. Systems. Man, and Cybernetics 3(1): 28-44
- Zimmermann, H. J. (1991) Fuzzy Set Theory and Its Applications. Massachusetts: Kluwer Academic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