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jo and Chinese Poems in Han Yong-Un

만해(萬海) 한용운(韓龍雲)의 시조(時調)와 한시(漢詩)

  • Published : 2005.07.01

Abstract

This thesis is about Sijo(traditional Korean poem) made-up of 35 volumes and 45 poems written by Han Yong-un. The aim of this study is reappraise the Sijo which is not known to Korean people. There are four thesis about Sijo so far. Ko Myeong-su divided Sijo into separate subjects and researched it very deeply. After I read the Chinese Poems of Han Yong-un, I research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 matter and its theme. The relationships are between the moon and religion, spring and aspiration, autumn and grief or lose, and the sword and patriotism. I chose to discuss a Sijo 'Mugunghwa Shimeukwajeo'(무궁화(無窮花)를 심으과저) shich deals with the moon and religion. The main subject matter of this S is the moon. There are three poems in this volume. They are all about the moon. There is a Mugunghwa (無窮花) on the moon. This poem asserts that the moon is good for love, and it is the subject matter of the poet's religion. The moon in the Chinese poem 'Okjungkamwhiy'(獄中感懷) believes there is hope in prison. The moon in 'Wolbang(月方中) is Buddhist thinking. I researched 'Geochon'(早春) tee poems about spring and aspiration. The first poem is about the independent movement against the Japanese. Autumn is about the feeling of lose in the life. Sijo 'Chuyamong' (秋夜夢) is lose the lover. The second poem is about conquering all difficulties of the poet's current circumstance. The third poem is about the feeling of vacuum in his life. The fourth poem is about deploring losing his mind. 'Nam-a'(男兒) and 'Urinim'(우리님) are books about patriotism. These poems have the subject matter of a sword for song patriotism. 'Kiharksaeng'(寄學生), 'Anhaeju'(安海州), and 'Hwangmaecheon'(黃梅泉) are patriotic poems. In this study, I found that the subject matter and the theme in the Chinese poems of Han Yong-un(韓龍雲) are related. Mainly he used the metaphor of the moon for religion, spring for aspiration, autumn for grief or lose, and sword for patriotism.

이 논문은 한용운의 시조 35편 45수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한용운(韓龍雲)의 시조를 관련 한시를 함께 읽으면서 그 소재(素材)가 주제와 연관되는 점을 살펴보았다. 달과 신앙, 봄과 희망, 가을과 상실, 칼과 애국이 그것이다. 달과 신앙에서는 작품으로 ${\ulcorner}$무궁화를 심으과저${\lrcorner}$를 택했다. 이 시조는 모두 3편으로 되어 있는데 세 편 모두에 달이 소재로 사용되었다. 시인이 달의 빛을 따르는 시인의 신앙으로 자리잡은 소재(素材)로 그려졌다. 한시 ${\ulcorner}$옥중감회(獄中感懷)${\lrcorner}$에서 달은 옥중(獄中)에 있는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明月(명월)로 믿음의 대상이었다. ${\ulcorner}$월방중(月方中)${\lrcorner}$에서는 부처님을 형상화할 때 사용한 것으로 믿음의 대상이라고 보았다. 봄과 희망에는 ${\ulcorner}$조춘(早春)${\lrcorner}$ 3수를 살펴보았다. 첫째 수는 독립운동의 힘을 모으고 더욱 단단히 결속 무장하는 것을 표현했고, 둘째 수에서는 희망을 가지고 묵묵히 현실을 타개하는 매화의 의지를 그렸다. 셋째 수에서는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온다고 고진감래의 희망을 읊었다. 가을이 상주(喪朱)을 의미하는 경우는 시조 ${\ulcorner}$추야몽(秋夜夢)${\lrcorner}$을 예로 들 수 있다. 시조 ${\ulcorner}$추야몽(秋夜夢)${\lrcorner}$ 첫 수는 가을밤 빗소리로 님을 상실했고, 둘째 수는 상실의 서러움을 그렸고, 셋째 수는 상실의 허전함을 그렸다. 넷째 수는 상실에 대한 한탄을 그렸다. 애국을 주제로 한 시조에는 ${\ulcorner}$남아(男兒)${\lrcorner}$${\ulcorner}$우리님${\lrcorner}$이 있다. 이 시조에는 모두 칼이 소재로 사용되었으며, 조국을 지키는 강열한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한시 ${\ulcorner}$기학생(寄學生)${\lrcorner}$${\ulcorner}$안해주(安海州)${\lrcorner}$에는 칼이 조국을 위한 도구로 나오는데, ${\ulcorner}$황해천(黃海泉)${\lrcorner}$에는 칼이 조국을 위한 도구로 나오지 않고 매천선생의 절개를 높이 기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