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 Reporting of Natural Disaster: the Case of Typhoon Rusa

자연재난 보도의 특성 분석: 태풍 루사의 사례 연구

  • 김만재 (강릉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역개발학과)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The primary source of disaster information for victims as well as ordinary people is mass media. In spite of their importance, the media often inaccurately portrays reality, which has stimulated academic debates. In Korea, however, media reporting patters of disaster have been hardly addressed. Therefore, the paper analyzes how newspaper and television news have reported typhoon Rusa between August 29 and October 1 in 2002 by using KINDS(Korean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elevision news tend to present more soft news stories emphasizing human interest stories than newspaper articles, relying on victims as primary interviewees.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Korean media do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oviding disaster information to public regarding how to lessen the effects of impact through preparation. Disaster mythology representing wrong beliefs about human behavior in disaster is found in Korean media reporting, too. Unlike their western counterparts, however, Korean media seem to use the dependency image of helpless victims in order to stimulate donations. Analyses of disaster reporting patterns suggest that, in make disaster warning messages associated with behavioral responses, credible and official sources should provide clear and precise warning messages to the media, and the media also need to stress individual responsibilities in protecting his or her own properties not to make victims heavily dependent on public supports, while inducing donations.

매스 미디어는 재난 발생시 이재민 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기 때문에 매스 미디어의 역할은 재난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재난보도에 관한 현황 분석조차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카인즈를 이용하여 2002년 8월 29일 부터 10월 1일까지 태풍 루사에 관하여 신문과 텔레비전 뉴스에서 보도된 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재난 보도에서는 일기예보를 활용한 사전 경보 기능이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재난 피해자들의 무기력한 모습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의존이미지라는 재난신화를 만드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재민들에 대한 이와 같은 묘사는 성금을 모집하는 데에는 지대한 공헌을 하였을지 모르지만, 사실을 왜곡함으로써 효율적인 방재계획을 수립하는 데에는 역기능적 역할을 수행하였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미디어를 활용한 효율적인 경보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재난경보가 복잡한 사회 과정임을 인식하여, 신뢰할만한 공식적인 기관이, 명확하고 구체적인 메시지를 매스 미디어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매스 미디어의 성금 모금은 필요 경비의 조달과 공동체 의식의 공고라는 순기능적 측면이 있지만 이재민의 의존적인 태도를 영속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매스 미디어를 통하여 정부가 수행해야 할 업무와 자산 소유주가 담당해야 할 책임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