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sphorus and Suspended Solid Loading in Lake Yongdam

용담호 소유역별 인 및 부유물질 유입부하량 산정

  • Kwon, Sang-Y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Geel (Korea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for Hydrosphere) ;
  • Yih, Won-Ho (Department of Oceanograph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Bom-Chu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eo, Woo-My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amcheo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Total phosphorus (TP) and suspended solids (SS) were measured in the discharge waters from 5 drainage basins of Lake Yongdam, from April, 2002 till March, 2004. The responses of SS and TP to rainfall were analyzed and their loadings into Lake Yongdam were calculated. The inflowing rivers into Lake Yongdam were the Juja River, the Jeongja River, the Jinan River, the Geum River and the Guryang River. Among these rivers Jinan River showed the highest TP that fluctuated very much according to the flow rate. TP and the flow rates (Q) of each river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pirical relationsip of $TP\;=\;6.32Q^{0.30}$ for the Juia River, $TP\;=\;8.58Q^{0.49}$ for the Jeongia River, $TP\;=\;307.92Q^{0.10}$, for the Jinan River, $TP\;=\;17.91Q^{0.47}$, for the Geum River, $TP\;=\;20.11Q^{0.53}$ for Guryang River. In April 2002 ${\sim}$ March 2003, phosphorus loadings from the Juja River, the Jeongja River, the Jinan River, the Geum River and the Guryang River were calculated to be 3,677, 11,430, 36,412, 89,651, and 42,226 kgP ${\cdot}$ $yr^{-1}$ respectively. And the specific loadings from the Juja River, the Jeongia River, the Jinan River, the Geum River and the Guryang River were calculated to be 0.3, 2.9, 13.6, 9.3, and 13.0 kgP ${\cdot}$ $km^{-2}$ ${\cdot}$ $yr^{-1}$ respectively. In April 2002 ${\sim}$ March 2004, the suspended particles loading from the Juja River, the Jeongia River, the Jinan River, the Geum River and the Guryang River were 673, 1,232, 4,232, 30,902, 80,202 ton ${\cdot}$ $yr^{-1}$ respectively. The Guryang River showed the largest contribution of SS loading.

2002년 4월부터 5개의 소유역으로부터 인 및 부유물질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총인 농도와 유량의 관계식은 주자천, 정자천, 진안천, 금강 및 구량천에서 각각 $TP\;=\;6.32Q^{0.30}$, $TP\;=\;8.58Q^{0.49}$, $TP\;=\;307.92Q^{-0.10}$, $TP\;=\;17.91Q^{0.47}$$TP\;=\;20.11Q^{0.53}$ 로 진안천을 제외하고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2003년의 경우 총인의 부하량은 주자천, 정자천, 진안천, 금강 및 구량천에서 각각 3,677, 11,430, 36,412 ,89,651 및 42,226 kgP ${\cdot}$ $yr^{-1}$로 계산되었으며, 전체 부하량 중 각 유입수가 차지하는 양은 금강 (48.9%), 구량천 (23.0), 진안천(19.9%), 정자천 (6.2%), 주자천 (2.0%) 순이였다. 또한 단위면적당 부하량은 주자천, 정자천, 진안천, 금강, 구량천에서 각각 0.3, 2.9, 13.6, 9.3 및 13.0 kgP ${\cdot}$ $km^{-2}$ ${\cdot}$ $yr^{-1}$로 진안천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용담호 유입수의 부유물질 농도와 유량의 관계식은 주자천, 정자천, 진안천, 금강및 구량천에서 각각 $SS\;=\;0.37Q^{0.40}$, $SS\;=\;0.80Q^{0.35}$, $SS\;=\;11.03Q^{0.18}$, $SS\;=\;0.88Q^{0.77}$$SS\;=\;1.16Q^{0.97}$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2003년의 경우 부유물질의 부하량은 주자천, 정자천, 진안천,금강 및 구량천에서 각각 673, 1,232, 4,232, 36, 902, 80, 202 ton ${\cdot}$ $yr^{-1}$로 구량천에서 가장 많았다 용담호 유입수의 총인 및 부유물질은 강우량이 많았던 시기에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유량과는 대부분 양의 상관을 보였다. 용담호의 경우 본 연구에서 산출한 경험식을 이용하여 유량만으로도 총인 및 부유물질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유입하천 중 주자천과 진안천의 경우 상관관계가 낮아 경향성은 파악할수 있으나 좀더 정확한 부하량 산정을 위해서는 차후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용담호의 경우 인부하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강우에 따른 유출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하며 강우에 의해 유입될 수 있는 오염원도 정확히 조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호, 한선임, 이준배. 2002. 대청호 유역 오염부하량 산정. 상하수도학회지 16: 581-595
  2. 김범철, 박주현, 허우명, 임병진, 황길순, 최광순, 채기숙. 1999. 국내 주요호수의 육수학적 조사 (3): 진양호. 한국육수학회지 32: 111-126
  3. 김범철, 박주현, 허우명, 임병진, 황길순, 최광순, 최종수. 2001. 국내 주요 호수의 육수학적 조사(4): 주암호. 한국육수학회지 34: 30-44
  4. 박재충, 박정원, 신재기, 이희무. 2005. 인공호에서 몬순과 태풍 강우에 의한 고탁수층의 이동과 소멸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8: 106-117
  5. 수자원종합정보. 2004. wamis.kowaco.or.kr
  6. 안광국, 신인철. 2005. 산간 계류성 하천의 계절적 수질변동에 대한 몬순강우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8: 54-62
  7. 이기종, 허우명, 김범철. 1993. 대청호 유역과 가두리양어장으 로부터의 인부하량과 인수지. 한국수질보전학회지 9: 139- 144
  8. 최중대, 김정제, 양재의, 정진철, 윤세영. 1998. 산지에서의 환경 보전형 농업을 위한 토양의 질 평가. 한국농공학회지 40: 502-510
  9. 최중대, 이찬만, 최예환. 1999. 토지이용이 농업소유역의 수질 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2: 501-510
  10. 한강수계관리위원회. 2003. 탁수로 인한 수중생태계 영향조사 및 저감대책 제시. 195pp
  11. 한국수자원공사. 2000. 용담다목적댐 건설사업 수질대책보고서. p 17
  12. 한국수자원공사. 2003. 2003년 용담댐 일원 하천유량측정등 수문조사 보고서. 400pp
  13. 허우명. 1993. 소양호의 부영양화와 남조류 bloom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허우명, 김범철, 안태석, 이기종. 1992. 소양호 유역과 가두리로 부터의 인부하량 및 인수지. 한국육수학회지 25: 207-214
  15. 허우명, 김범철, 김윤희, 최광순. 1998. 소양호 유역에서 비점오염원의 홍수유출과 오염수괴의 호수내 이동. 한국육수학회지 31: 1-8
  16. 허우명, 김윤희, 최광순, 김범철, 2004. 소양호 유역의 탁수발생 과 인부하량 변동. 제12회 세계 물의 날 기념 심포지엄 '소양호 생태계의 특성과 보존'. p121-136
  17. 황길순, 김동섭, 허우명, 김범철. 1994. 대청호의 일차생산과 가 두리양어장 및 유역으로부터의 유기물부하량. 한국육수학회지 27: 299-306
  18. An, K.G. 2000. Monsoon inflow as a Major Source of inlake Phosphorus. Kor. J. Limnol. 33: 222-229
  19. APHA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th ed', Washington D.C
  20. Bloesch, J.P., P. Stadelman and H. Buhrer. 1977. Primary production and sedimentation in the euphotic zone of two Swiss lakes. Limnol. Oceanogr. 22: 511-526 https://doi.org/10.4319/lo.1977.22.3.0511
  21. Cooke, G.W. and R.J.B. Williams. 1973. Significance of man-made sources of phosphorus: Fertilizers and farming. The phosphorus involved in agricultural systems and possibilities of its movement into natural water. Water Res. 7: 19-33 https://doi.org/10.1016/0043-1354(73)90150-4
  22. Drolc, A. and J. Zagorc Koncan. 2002. Estimation of sources of total phosphorus of total phosphorus in a river basin and assessment of alternatives for river pollution reduction. Envronment International. 28: 393-400 https://doi.org/10.1016/S0160-4120(02)00062-4
  23. Globler, D.C. and M.J. Silberbauer. 1985. The combined effect of geology, phosphate sources and runoff on phosphate export from drainage basin. Water res. 19: 975-981 https://doi.org/10.1016/0043-1354(85)90365-3
  24. Goldman, C.R. and A.J. Horne. 1983. Limnology. McGraw- Hill. NewYork
  25. Heo, W.M, S.Y. Kwon and B. Kim. 2002. Long-term Variations of Trophic State and Phosphorus Loading in Lake Andong, Korea. Kor. J. Limnol. 35: 249-256
  26. Heo, W.M, S.Y. Kwon and B. Kim. 2004. The Limnological Survey and Phosphorus Loading of Lake Hoengsung. Kor. J. Limnol. 37: 411-422
  27. Kim, B. 1987. An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Lake Soyang. Ph. D. Thesis. Seoul Nat. Univ
  28. Kim, B., J.H. Park, G. Hwang and K. Choi. 1997. Eutrophication of Large Freshwater Ecosystem in Korea. Kor. J. Limnol. 30: 512-517
  29. Likens, G.E. 1975. Primary production of inland aquatic ecosystem. In H. Lieth and R.H. Whittaker (eds). Primary productivity of the biosphere. springer Verlag. New York. pp. 185-202
  30. Mihara, M. 2001. Nitrogen and Phosphorus Losses due to Soil Erosion during a Typhoon, Japan. J. Agric. Engng Res. 78: 209-216 https://doi.org/10.1006/jaer.2000.0643
  31. Mitchell, A.W., R.G.V. Bramley and A.K.L. Johnson. 1997. Export of nutrients and suspended sediment during a cyclone-mediated flood event in the Herbert River catchment, Australia. Mar. Freshwater Res. 48: 79-88 https://doi.org/10.1071/MF96021
  32. Richardson, C.W and K.W. King. 1995. Erosion and Nutrient Losses From Zero Tillage on a Clay Soil. J. Agric. Engng Res. 61: 81-86 https://doi.org/10.1006/jaer.1995.1034
  33. Schindler, D.W. and E.J. Fee. 1974. Experimental Lakes Area: Whole lake experiments in eutrophication. J. Fish Res. Bd. Can. 31: 973-953
  34. Tanaka, Y., T. Kimoto and R. Tsuda, 1996. Turbid water penetration from yasu River into Lake Biwa at the seasonal thermocline. Jpn. J. Limnol. 57: 475-465
  35. Vollenweider R.A. 1968. Scientific fundamentals of the eutrophication of lakes and flowing water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nitrogen and phosphorus as factors in eutrophication, OECD Technical Report, DAS/CSI/ 6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