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 and Chemistry Teacher Perceptions and Analysis of Textbook Contents Related to the Effect of Water Vapor in the Air on Evaporation and Boiling

  • 발행 : 2005.12.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개발한 설문지를 통해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교과서의 서술에서 증발과 끓음은 기화라는 개념으로 연결되어 제시되고, 끓음은 증기압과 대기압의 관계로 설명되며, 증기압은 증발로 형성된 공기 중의 수증기 개념으로 연결되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간의 연결 사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인식들을 고등학생들의 경우와 화학 전공 교사들의 경우로 구분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다양한 인식들이 형성된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과서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많은 학생들이 공기 중의 수증기량과 증발 및 끓음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거시적인 수준에서 설명되는 증발 현상과 미시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물 입자들의 증발을 구분하지 못하였다. 또한 공기 중의 수증기가 증기압과 끓음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다. 교사들의 경우에는 과학적 개념의 형성 비율이 학생들보다 높았으나, 많은 교사들이 학생들과 유사하게 증발과 끓음에 대해 다양한 인식을 하고 있었다. 교과서에서는 보편적으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증발과 끓음의 현상을 설명하였으며, 미시적인 관점을 제시하는 경우에도 개념들간의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high school student and chemistry teacher perceptions on the effect of water vapor in the air on evaporation and boiling of water by a questionnaire. In science textbooks evaporation and the boiling of water are related to the vaporization concept, boiling is related to vapor pressure and air pressure, and vapor pressure is related to the vapor concept in the air. High school student and chemistry teacher perceptions on these linkages were compared. Science textbooks were also analyzed for reasons behind these diverse perceptions. Results revealed that a majority of students conceptualized that vapor in the air was related to evaporation and boiling, but were unable to distinguish the evaporation phenomena at the macroscopic level and the evaporation of water molecules at the microscopic level. They also thought that vapor in the air affected vapor pressure and boiling. Although the percentage of teacher scientific conception was higher, a great number of teachers had diverse perceptions on evaporation and boiling just as students had. Common explanations of evaporation and boiling phenomena in science textbooks were at the macroscopic level. Moreover, there were few connections of concepts even if the explanations were at the microscopic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대훈 (2001). 용해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유형 및 교사들의 지도 실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강만식, 정창희, 이원식, 한인섭, 박은호, 이창진, 김일회, 장병기, 정병훈, 윤용, 이태욱, 한천옥 (2002). 중학교 과학 3. (주) 교학사
  3. 강영희, 조완규, 권숙일, 나일성, 소현수, 조희구, 이민호, 윤길수, 하효명, 서평웅, 김종권, 이영만, 목창수 (1994). 중학교 과학 2. 두산동아
  4. 고영미 (2001). 증발과 증발 조건에 대한 유.초.중학교 아동의 개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고영환 (2002). 화학과 생물 교과서에 제시된 삼투 개념과 고등학교 과학 교사와 학생의 삼투 개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공구영, 김진규, 이광만, 허동, 김택종, 정문호, 이기성, 김병국, 안태근, 김영국, 김수웅, 정익현, 박병훈 (1994). 중학교 과학 2. 지학사
  7. 국동식 (1988). 물의 상태 변화에 대한 중, 고등학생의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1), 33-42
  8. 권재술, 김범기, 최병순, 현종오, 이길재, 임건일, 정진우, 이연우, 홍성일 (1994). 중학교 과학 2. 한샘출판(주)
  9. 김시중, 문정대, 이종면, 구창현, 이상진 (1995). 화학 II. 금성출판사
  10. 김시중, 정완호, 한복수, 우종옥, 이종면, 임경배, 정근화, 민경덕, 구창현, 이광석, 최돈형, 김병국, 이상진, 박범익 (1994). 중학교 과학2. 금성출판사
  11. 김정률, 고현덕, 김재현, 김남일, 임용우, 동효관, 김선주, 남철주, 김영순, 이준용 (2002). 중학교 과학 3. (주)블랙박스
  12. 김찬종, 김희백, 박시진, 오차환, 양재철, 장흥식, 정진문, 조현수, 최후남, 한송희, 현종요 홍경희 (2002). 중학교 과학 3. (주)도서출판 디딤돌
  13. 김희준, 윤경병, 이준용, 황성용, 이복영, 전화영 (2002). 화학 II. (주) 천재교육
  14. 박봉상, 김윤우, 홍달식, 박문수, 정대영, 심국석, 심중섭, 최진복, 장정찬, 최병수, 진만식 (2002). 중학교 과학3. 동화사
  15. 박봉상, 서정쌍, 박희송, 김윤우, 정대영, 허성일, 서광호, 최병수 (1994). 중학교 과학 2. 동화사
  16. 박선양 (2000). 일상적 상황에서 물의 상태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유형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박원기, 윤석진 (1995). 화학 II. (주)지학사
  18. 박택규, 정규철, 김두탁 (1995). 화학 II. 박영사
  19. 백성혜 (2000).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의 구분. 화학교육, 27(1), 78-80
  20. 소현수, 안태인, 최승언, 박건식, 목창수, 김종권, 김득호, 구수길, 박완규, 김완섭, 김영산, 이미하 (2002). 중학교 과학 3. (주)두산
  21. 소현수, 윤길수, 이영만, 허성일, 김용원 (1995). 화학 II. (주)두산
  22. 송인명, 이춘우, 오제직, 최석남, 박영철, 문형태, 우영균, 곽종흠 (1994). 중학교 과학 2. (주)교학사
  23. 송호봉, 이재호, 이진현, 강금덕, 양기열, 구인선, 정관영 (2002). 화학 II. 도서출판 형설
  24. 송호봉, 정용순 (1995). 화학 II. 형설출판사
  25. 신인철 (1992).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6. 양영민 (1992).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학교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 여상인 (2001).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증발과 응결 현상에 대한 이해.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3, 209-224
  28. 여상인, 이진승, 김홍석 (2002). 화학 II. (주)지학사
  29. 여수동, 여환진, 장영근, 이규옥 (1995). 화학 II. 청문각
  30. 여수동, 여환진, 장영근, 이규옥, 조춘현, 박현영, 양도권, 이충길 (2002). 화학 II. 청문각
  31. 예종성 (1999). 초등학생들의 증발과 응결에 대한 대안적 개념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2. 우규환, 김강진, 이인길, 여상인 (1995). 화학 II. (주)천재교육
  33. 우규환, 최석남, 오두환, 한은택, 김봉래, 강봉주 (2002). 화학 II.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34. 우규환, 홍종배, 안태인, 권병두, 진황운, 손영진, 이팽윤, 전성용 (1994). 중학교 과학 2. (주)천재교육
  35. 윤용, 정지오, 박종석, 김영호 (2002). 화학 II. (주)교학사
  36. 윤재화 (2001).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에 관한 개념 변화 유형 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7.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운호, 방태철, 이기성, 안태근, 정상윤, 복완근, 정익현, 박병훈, 박정일, 정수도, 김경수, 박지극, 송양호, 이천기 (2002). 중학교 과학 3. (주)지학사
  38. 이덕환, 김대수, 심국석, 전석천, 이정희, 심중섭, 서인호, 노기종 (2002). 화학 II. (주)대한교과서
  39. 이성묵, 채광표, 김기대, 이문헌, 권석민, 손영운, 노태희, 정지오, 서인호, 김영수, 김윤택, 이세영 (2002). 중학교 과학 3. (주)금성출판사
  40. 이윤정 (1994). 국민학교 4, 5학년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에 대한 선개념 유형과 경험 활동 학습을 통한 개념 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1. 이정화 (1994). 국민학교 저학년 학생의 증발과 응결에 대한 선개념 조사 및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2. 이혜정, 정진수, 박국태, 권용주 (2004).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18-1027
  43. 일반화학교재연구회 역 (2002a). 일반화학 (제3판). 자유아카데미. [원전: Brady, J. E., Russell, J. W., & Holum, J. R. (2000). Chemistry-Matter and its changes (3rd Ed.). John Wiley & Sons, Inc.]
  44. 일반화학교재연구회 역 (2002b) 일반화학 (제4판). 자유아카데미 [원전: Masterton, W. L., & Hurley, C. N. (2001), Principles and reactions chemistry (4th Ed.). Thomson.]
  45. 임명혁 (2001). 물의 상태 변화와 상태 변화의 조건에 대한 유아, 초등, 중학교 학생들의 개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6. 전정수 (2003). 증발과 끓음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7. 정구조 류재홍, 이대형 (1995). 화학 II. (주)동아서적
  48. 정애경 (2003). 증발과 꿇음에 대한 중등 교과서의 개념간 관련성 분석 및 과학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9. 정완호, 우종옥, 권재술, 김범기, 최병순, 정진우, 김성하, 백성혜, 이석형, 이봉호 (2002). 중학교 과학 3. (주)교학사
  50. 정창희, 정창희, 이원식, 강만식, 이인규, 송희정, 윤홍식, 이금휘, 한인섭, 박은호, 문찬호, 윤용 (1994). 중학교 과학2. (주)교학사
  51. 최경희, 김숙진 (1996).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52. 최돈형, 김동영, 김봉래, 김재영, 노석구, 신영준, 이기영, 이대형, 이면우, 이명제, 이상인, 전영석 (2002). 중학교 과학 3. 도서출판 대일도서
  53. 최병순, 김효남, 강순희, 신인철 (1993).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92-99
  54. 최병순, 김효남, 강순희, 김영준 (1994). SPACE 수업 전략이 국민학교 아동들의 증발과 응결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72-284
  55. Bar, V., & Travis, A. S. (1991). Children's views concerning phase chang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4), 363-382 https://doi.org/10.1002/tea.3660280409
  56. Bar, V., & Galili, I. (1994). States of children's view about evapo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2), 157-174 https://doi.org/10.1080/0950069940160205
  57. Chang, J-Y. (1999). Teachers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about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boiling. Science Education, 83(5), 511-526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9)83:5<511::AID-SCE1>3.0.CO;2-E
  58. Hwang, B. T., & Hwang, H. W. (1990). A study of cognitive development of the concepts of solution. Research report sponsored by National Science Council, R.O.C(Grant No. NSC79-0111-S003-021-D). Taipei: NSC
  59. Chang, J-Y. (1999). Teachers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about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boiling, Science Education, 83(5), 511-526.]에서 재인용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9)83:5<511::AID-SCE1>3.0.CO;2-E
  60. Johnson, P. (1998a). Children's understanding of changes of state involving the gas state, Part I: Boiling water and the particle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5), 567-583 https://doi.org/10.1080/0950069980200505
  61. Johnson, P. (1998b). Children's understanding of changes of state involving the gas state, Part 2: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below boiling poi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6), 695-709 https://doi.org/10.1080/0950069980200607
  62. Osborne, R. J., & Cosgrove, M. M. (1983).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changes of state of wa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9), 825-838 https://doi.org/10.1002/tea.3660200905
  63. Russel, T., & Watt, D. (1990).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Primary SPACE Project Research Report. Liverpool University Press
  64. Stavy, R. (1988). Children's conception of ga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5), 553-560 https://doi.org/10.1080/0950069880100508
  65. Stavy, R. (1990). Children's conception of changes in the state of matter: from liquid (or solid) to ga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3), 247-266 https://doi.org/10.1002/tea.3660270308
  66. Tytler, R. (2000). A comparison of year 1 and year 6 student's conception of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dimension of conceptual prog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5), 447-467 https://doi.org/10.1080/095006900289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