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Physics Problem Solving Processes of High School Students 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roblems

정성적, 정량적 문제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물리 문제해결과정 분석

  • Published : 2005.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hysics problem solving processes 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roblems in the area of 'Force and Motion' in high school science. The students who have already learned the area of 'Force and Motion'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10th grade have taken physics test to choose students who have basic knowledge of physics. Eight students were selected.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and the procedure of this study, think-aloud method was instructed to the students, and the students practiced it. After that, the students solved three problems in ea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ype. Then, the questionnaire of belief system on physics and physics problem solving and the prerequisite knowledge test were administered. By recording the students' solving processes, protocol was made and analyzed. After solving problems, the students expressed their confidence, intimacy, and preference. Quantitative problems needed much time at planning step than qualitative problems did. Moreover, solving time was longer and repeating frequency was more than those of qualitative problems. It seemed because even though the students qualitatively knew the answer, they should determine the given quantitative conditions, consider formulae, and recall the specific numbers. Since the students usually got access to many quantitative items in their physics study, they were accustomed to solve problems by using formulae. In addition, they put confidence in formulae, so they tended to solve problems quantitatively. As the result, they preferred quantitative problems to qualitative problems.

본 연구는 '힘과 운동'에 관한 정량적, 정성적 문제에 따른 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여자고등학교 1학년 학생 8명이었다. 이들은 문제해결에 필요한 내용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학생들이었다. 선행 지식검사와 정량적 문제 3개와 정성적 문제 3개로 구성된 본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정량적 문제에서는 계획단계의 시간비율이 정성적 문제에 비해 더 높고 총 소요시간도 길게 나타났으며, 해결단계의 반복횟수도 더 많았다. 정량적 문제에서 해결에 성공하는 정도는 정성적 문제에서 별 차이가 없었고, 전략사용에도 차이가 없었다. 학생들은 평소 물리학습에서 정량적 문제를 많이 접하므로 수식과 공식을 사용하여 문제 푸는 일에 익숙해 있고, 수식과 공식에 의한 결과를 더 신뢰해서 정성적 문제를 정량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었으며, 정성적 문제 보다 정량적 문제를 더 선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동 (1998). 학생들의 인지양식에 따른 역학에 관한 정성적 문항과 정량적 문항의 난이도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박윤배 (1991). 역학문제해결에 있어서의 오류 유형. 물리교육, 9(1), 14-23
  3. 박학규, 권재술 (1994). 물리 문제해결과정에서의 학생들의 사고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1), 85-102
  4. 박학규, 이용현 (1993). 물리 문제해결과정에서 중학생들의 사고 과정의 특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31-47
  5. 양혜정 (1994). 전기회로에 관한 정성적 문항과 정량적 문항의 난이도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6. 홍미영 (1995). 문제와 문제해결자의 특성이 화학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 박사학위논문
  7. 홍미영, 박윤배 (1995). 문제의 특성에 따른 대학생들의 화학 문제해결 과정의 차이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80-91
  8. Ericsson, K.A., & Simon, H.A. (1984). Protocol analysis. Cambridge, MA: MIT Press
  9. Larkin, J. H., McDermott, J., Simon, D. P., & Simon, H. A. (1980). Models of competence in solving physics problems. Cognitive Science, 4, 317-345 https://doi.org/10.1016/S0364-0213(80)80008-5
  10. McMillan III, C. & Swadener, M. (1991). Novice use of qualitative versus quantitative problem solving in electrosta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 661-670 https://doi.org/10.1002/tea.3660280804
  11. Polya, G. (1957). How to solve it(2nd Ed.), Garden City, N.Y. : Doubleday & Company,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