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by Learning Styles

중학생의 학습양식 유형에 따른 과학탐구능력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In order to suggest instructional strategy and learning guidance in scie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middle school students by learning style and then examine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via those learning styles. The Student Learning Style Questionnaire (SLSQ) and the Test of Science Process Skills (TSPS) were given to 340 ninth graders. Their learning styl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at were divided into two opposing types: independent/ dependent, collaborative/ competitive, and participant/ avoidant.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 1) Students of the dependent, collaborative, and participant type out numbered ones of the independent, competitive, and avoidant type. 2) Gender differences showed that male students of the competitive, participant, dominant type totalled more than the female students of the collaborative, avoidant type. Furthermore, 3) For students of the independent, competitive, participant type, science process skill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dependent, collaborative, avoidant type.

이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양식 유형을 독립형과 의존형, 협동형과 경쟁형, 참여형과 회피형 등으로 분류 하고, 각 유형에 따른 과학탐구능력을 분석하여 과학 교육에서의 교수전략 및 학습지도의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금천구 소재의 한 중학교 3학년 학생 340명으로 하였으며, 학습양식 검사도구와 과학탐구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학습양식 유형은 독립형과 의존형, 협동형과 경쟁형, 참여형과 회피형의 대비되는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학습양식 유형은 독립형보다 의존형, 경쟁형보다 협동형, 회피형보다 참여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은 경쟁형, 참여형이 상대적으로 많고, 여학생은 협동형, 회피형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양식 유형에 따른 과학탐구능력은 의존형보다 독립형, 협동형보다 경쟁형, 회피형보다 참여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학습양식 유형의 분포는 남녀간에 상대적인 차이가 있으며, 학습양식 유형이 독립형, 경쟁형, 참여형인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과학탐구능력 신장을 위해서, 학생들에게는 보다 독립적이고 의욕적이며 참여적인 학습태도가 권장되며, 교사들에게는 학생들의 학습양식 유형을 고려한 교수전략 개발 및 학습지도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혁민 (1994). 초중학생들을 위한 과학 탐구 능력 측정 도구의 개발 과정 및 타당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권재술, 김범기 (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3. 김서래 (1994). 학습양식의 학교급별 및 성별 차이와 학업성취와의 관계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박선아 (1989). 중학생의 학습양식과 학업성취귀인 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박아청 (1999). 교육심리학의 이해. 교육과학사
  6. 박재환 (1997). 중학생의 학습양식과 TA 자아상태 가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안순금 (1994). 국민학생의 학습양식에 따른 학업성취귀인과 학업성취도의 차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임창재 (1996). 학습양식. 형설출판사
  9. 조희형, 박승재 (1995). 과학학습지도. 교육과학사
  10. 허명 (1984). 과학 탐구 평가표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 57-63
  11. Dunn, R. (2000). Capitalizing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styles: Theory, practice, and research. In R. Dunn & S. A. Griggs (Eds.), Practical approaches to using learning styles in higher education. Connecticut: Bergin & Garvey, 3-18
  12. Dunn, R., & DeBello, T. (1981). Learning style researchers define differences differently. Educational Leadership, 38, 372-375
  13. Dunn, R., Dunn, K., & Perrin, J. (1994). Teaching young children through their individual learning styles: Practical approaches for grades K-2. Boston: Allyn and Bacon, Inc.
  14. Eysenck, M. W. (Ed.). (1991). The Blackwell dictionary of cognitive psychology. Oxford, OX, UK: Blackwell
  15. Gibson, J. T., & Chandler, L. A. (1988). Educational psychology: master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s. Boston:Allyn and Bacon, Inc.
  16. Jonassen, D. H., & Grabowski, B. L. (1993).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learning, and instruction.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7. Kolb, D. A. (1984). Experiment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New Jersey: Prentice Hall,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