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Hornblende $^{40}Ar/^{39}Ar$ age of $113.4{\pm}2.4(2{\sigma})$ Ma was determined from the volcanic pebble of the Silla Conglomerate which belongs to the Hayang Group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Supergroup. This age corresponds to the top of Aptian. Based on the reported age information, onset and duration of deposition of the constituting formations of the Hayang Group are constrained as follows; deposition of the Jindong Formation started from ca. 96~97 Ma and lasted for about 15 Ma. Therefore, Jindong Formation was deposited since Cenomanian to Santonian and it is likely to be extended to the early Campanian. We propose 81~80 Ma, which is in early Campanian, as the boundary between Hayang and Yucheon Groups. We suggest that the Silla Conglomerate was deposited during the early Albian and the Haman Formation was deposited during the rest of the Albian and also during the Cenomanian. The Chilgok Formation seems to be deposited during the late Aptian.
백악기 경상누층군의 하양층군에 속하는 신라역암의 화산암력들에 대한 각섬석 $^{40}Ar/^{39}Ar$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113.4{\pm}2.4(2{\sigma})$ Ma의 결과를 얻었다. 이 연대는 Aptian의 최상부 시기이다. 기존의 절대연령 측정결과를 종합검토하여 하양층군을 구성하는 각 층들의 퇴적시기를 다음과 같이 한정할 수 있었다. 진동층의 퇴적은 약 96∼97Ma의 시기로부터 15Ma 정도 지속되었다. 이는 Cenomanian 중에 퇴적이 시작되어 Santonian 까지 퇴적된 것은 거의 확실하며, Campanian의 하부까지 포함할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에서는 Campanian의 초기인 81~80Ma의 시기를 하양층군과 유천층군의 경계시기로 제안한다. 신라역암의 퇴적시기는 Albian 초기, 함안층의 퇴적시기는 Albian의 나머지와 Cenomanian까지로 볼 수 있다. 칠곡층의 퇴적은 Aptian 최후기에 걸쳐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