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thematical Knowledge and Perspectiv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tudents' Mathematics Tests

수학 평가문항의 출제 및 채점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지식과 관점

  • Park, Man-Goo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만구 (서울교육대학교 수학교육학과)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mathematical knowledge and perspectiv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tudents' mathematical tests, analyse test questions, and suggest several principles for the several issues of making and evaluating test-questions. The researcher surveyed 26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ttended a teachers training program at the A university during January, 2005. The data were analysed by the patterns. The patterns were ambiguity or uncorrectly-described test questionnaires, wrong interpretation of students' responses by the teachers, teacher's deficiency of student' levels and perspectives of mathematics, problematic questionnaires against test-making method, and so forth. Teachers are encourages to cross check to avoid the above problems, to have a strong mathematical knowledge, and to see students' mathematical answers in a flexible manners.

본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의 평가를 위한 시험의 출제 및 채점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지식과 관점이 어떠한지를 고찰해 보고, 이 과정에서의 문제점들을 기반으로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5년 1월 A교육 대학교의 일급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268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례를 조사하여 각 영역별, 유형별로 분석하여 교사가 수학 문제지를 출제하거나 학생의 수학답안을 채점하는 과정에서 겪는 혼란과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어려움의 유형으로는 문항 자체에 모호성을 가지고 있거나 문제를 잘못 출제한 경우, 학생들의 수준이나 관점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경우, 평가 문항 출제 기법상 문제가 있는 경우, 그리고 기타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교사들은 수학 문항을 출제 할 때 상호 점검으로 오류를 최대한 피하도록 하고, 수학 문항을 바르게 출제할 수학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채점 과정에서의 학생들의 답을 보다 유연하게 보는 관점을 가질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