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ypes and Counterplans of Medical Accident Experienced by Dentists in Seoul(2004)

서울특별시 개원 치과의사의 의료사고 및 분쟁의 유형과 대책에 관한 연구(2004년)

  • Yoon, Jeong-Ah (Dept. of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Kang, Jin-Kyu (Dept. of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Ahn, Hyoung-Joon (Dept. of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Choi, Jong-Hoon (Dept. of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Kim, Chong-Youl (Dept. of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윤정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 강진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 안형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 최종훈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 김종열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Dentistry had been considered to be a relatively safe zone from the risk of medical accidents for there are less number of emergency cases. However, in these days, the number of medical dispute is increasing that the dentists would not be able to overlook it as if it is none of their matters. Hence, researches on various medical accidents and analyses on related matters to seek proper management have been carried out recently, but the datas are not enough yet. This study analysed the actual conditions of medical accidents as well as disputes and the general awareness of dental practitioners in local clinics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general situation and to suggest counterplan. The study was conducted by analysing 1,882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otal of 3,684 dentists belonging to Seoul Dental Association and where Doctors and Hospitals Medical Malpractice Insurance for dentists is administe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98.47% of the respondents doubted the risk of medical accident and dispute. 2. 27.42%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medical disput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ate of medical disputes and the resident training. 3. Among the cases of medical accidents, those related to the periodontal/operative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rate of 20.50%, and that related to implant treatment was 6.17%. 4. 43.02% of the respondents explained about the treatment procedure before the treatment while 25.90% started the treatment without consent of the patients. 5. Medical dispute resulted from not having any explanation or consent of the patients were of 16.55%. 10.26% had difficulties in solving the problem for missing the medical records. 6. 49.73% responded to be capable of administering first aid treatment. Among them, 23.60% were equipped with accurate knowledge regarding the emergency care. 7. During medical dispute, 88.09% sought counsel from other dentists, and Local district dental associ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asked group. 8. In cases of medical dispute, 5.26% of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submit relevant data from customer protection organization, and among them, 75.61% acceded the demand sincerely. 9. After the settlement of the dispute, 83.63% recovered relatively stable state of mind. 10. 99.46% of the respondents felt the necessity of medical dispute management organization, and 78.58% responded that it was urgent. 11. 66.70% of the respondents joined Doctors and Hospitals Medical Malpractice Insurance, although they had not experienced medical dispute. However, 73.36% of the respondent were not aware of it, and 93.36% of the members were not aware of the procedure of the dispute settlement. 12. 79.0% of the respondents who joined the Doctors and Hospitals Medical Malpractice Insurance still felt confused when medical dispute occured, but relatively safer than before. 13. When medical dispute was settled through Doctors and Hospitals Medical Malpractice Insurance, 71.92% of the dentists were contented more than moderately, however, 35.16% of the patients were contented. 14. For complement of Doctors and Hospitals Medical Malpractice Insurance, 53.22% of the respondents felt that insurance company, dentist, and patient should all participate in bringing mutual agreement for quick settlement of the dispute. In addition, 29.08% of the respondents wanted insurance company to prevent patients from disturbing their practices. From the above results, improvement of the general awareness on increasing rate of medical disputes, and education as well as complementary measures for settlement of the disputes are required.

치의학계에서는 의료사고를 일으킬만한 중환자나 응급환자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의료분쟁에 휘말리는 경우가 적었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 비교적 안전지대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요즈음은 남의 일로 보아 넘기기에는 어려울 정도로 의료분쟁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연유로 최근에 이르러서는 비교적 다양한 의료사고와 분쟁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적당한 대처를 위하여 관련된 사항을 분석하고 있으나,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04년 현재 서울시치과의사회 소속 개원치과의사 3684명중, 설문지가 회수된 188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하는 의료배상책임보험이 시행되고 있는 최근의 개원 치과에서 일어나는 의료사고 및 분쟁의 실태와, 일반적인 치과의사들의 의식을 분석하고,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여 향후대책의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98.47%가 향후 의료사고 및 분쟁 발생에 대한 의구심을 가졌다. 2. 응답자의 27.42%가 의료분쟁을 경험하였으며, 전공의 수련여부와 의료분쟁 경험률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의료사고 중 치주.보존 관련 사고가 20.50%로 가장 높았으며, 임프란트 관련사고도 6.17%로 나타났다. 4. 응답자의 43.02%만이 치료 전 충분히 설명을 하였으며, 환자의 정확한 동의없이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도 25.90%로 나타났다. 5. 설명 및 동의를 시행하지 않아 의료분쟁이 발생한 것은 16.55%이며, 의무기록 관련자료가 부족하여 문제해결에 어려움을 당한 경우는 10.26%로 나타났다. 6. 응급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49.73%였으며, 이중 정확한 지식을 갖춘 경우는 23.60%로 나타났다. 7. 의료분쟁 발생시 88.09%가 치과의사에게 조언을 구하였으며, 또한 단체로는 구치과의사회에 주로 자문을 구했다. 8. 의료분쟁과 관련하여 소비자보호원으로부터 자료 제출 요구를 받은 경우는 5.26%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75.61%는 이에 성실히 대응하였다. 9. 의료분쟁을 해결한 후 83.63%는 비교적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회복하였다. 10. 응답자의 99.46%가 의료분쟁처리기구가 필요하다고 느꼈으며, 78.58%는 매우 시급하다고 생각하였다. 11. 66.70%의 치과의사가 의료분쟁 경험이 없이도 의료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였다. 그러나 응답자의 73.36%는 이 상품에 대하여 잘 몰랐으며, 가입자의 93.36%는 분쟁처리과정을 잘 알지 못했다. 12. 79.00%의 응답자가 의료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한 후에는 의료분쟁이 발생하여도 당황스러우나 가입 이전보다는 비교적 안심할 수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13. 의료배상책임보험에 의한 분쟁의 해결시 치과의사는 71.92%가 보통이상으로 만족하였으나, 환자는 35.61%만이 만족하였다. 14. 의료배상책임보험의 보완점으로 53.22%가 분쟁의 신속한 해결을 위해서 보험사, 의사, 환자 모두가 합의 유도에 동참해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또 29.08%의 응답자가 합의과정에서 환자측의 업무방해를 보험사에서 방어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볼 때 증가하는 의료분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이에 대한 교육 및 해결 장치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홍. 서울시 개원치과의사의 의료사고 유형 및 대책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7;23(2):157-191
  2. 김종열. 치과임상에서의 의료사고예방 및 처치, 덴티북, 1993
  3. 석희태. 의료과실의 판단기준, 판례월보 1987년 2월호 (통권 197호)
  4. Norton ML. Ethics in medicine and law; Standards and conflicts. Legal Medicine Annual 1977;210
  5. 고현철. 의료사고와 국가의 책임 ; 의료사고에 관한 제문제, 재판자료 제27집, 초판, 법원행정처, 서울, 1985
  6. 문국진. 우리나라 의료분쟁 처리의 법의학적 고찰. 대한법의학회지 1985;9
  7. 문국진. 의료사고 및 과실의 유책성에 관한 법의학적 고찰. 대한법의학회지1987;11(1):25-35
  8. 의료분쟁시 의료소비자측의 실력행사, 치과임상 1990;8:60-63
  9. 김종열. 의료분쟁과 대책, 건치 임상강좌 요약, 1997
  10. 송미라. 치과의료사고 예방 및 대처 방안, 2003
  11. Holder AR. Medical Malpractice Law, 2nd Ed., A Wiley Medical Publication, New York, 1978
  12. 문국진. 의료형태의 변화와 의료인과 환자의 대인관계. 대한법의학회지 1988;12(1):1-14
  13. 김종열 외. 치과법학 및 의료사고대책, 대한치과의사협회 법제위원회, 1992
  14. 의료분쟁에 대한 방어벽 구축. 치과임상 1990;10:74-75
  15. 의가연보고서 제2호, 의료사고가족연합회, 1
  16. 대한의학협회: 의료분쟁실태조사보고, 1981
  17. Annas GJ. Avoiding malpractice suit through the use of informed consent. Legal Medicine Annual 1977;217
  18. 추호경. 의료과오론, 초판, 육문사, 1992
  19. 문국진. 의료사고와 국가의 책임. 대한법의학회지 1990; 14
  20. 신은주. 의료분쟁과 그 해결방안, 의료와 법률 1996;(1):15-21
  21. 김민중. 의료계약, 사법행정 1991;1:44-45
  22. Cohen RJ. Malpractice, The Free Press, A Division of McMillan Publishing Co., Inc., 1st Ed., New York, 1979
  23. Tejima N. Medical Malpractice Screening Panels in the U.S.A., J. Medical Law 1987;II:19
  24. 김영구 외. 법치의학, 고문사, 1987
  25. 이승우, 정성창, 김영구. 진료행위와 환자의 승인, 치과연구 1981;10:45-46
  26. Bucklin R. Informed consent; past, present, and future. Legal Medicine Annual 1975:210
  27. Zimmerly JG. Informed consent to clinical investication. Legal Medicine Annual 1973:17
  28. 전하은. 의사의 설명위반과 가정적 승낙, 재판과 판례 1995:210-211
  29. 김광우. 의료의 입장에서 본 병원의료분쟁의 예방과 대책. 1983년도 병원경영세미나요지, 대한병원협회 1983;63
  30. 박승서. 법조계의 입장에서 본 병원의료분쟁의 예방과대책, 1983년도 병원경영세미나요지. 대한병원협회 1983:23
  31. 우리나라 의료분쟁의 소송외적인 조정장치, 치과임상 1990;8:64-67
  32. Pollack BR. Handbook of Dental Jurisprudence and Risk Management, PSG Publishing Co. Inc., 1980
  33. Ursu SC. Symposium on legal consideration, The Dental Clinics of North America, 26(2), W.B. Saunders Co., 1982
  34. 이영준. 민법총칙, 박영사, 1990
  35. Medicine and Law, Appendix B, Malpractice Insurance Crisis - The Forum. Section of Insurance, Negligence and Compensation Law, American Bar Association, Vol.11, Special Issue, January, 1976
  36. 선진국의 의료분쟁 대처방법. 치과임상 1990;(8):6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