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valuation of River Naturalness for Biological Habitat Restoration : II. Application of Evaluation Method

하천의 생물서식처 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평가 : II. 평가방법의 적용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The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river naturalness was conducted for sample rivers-Hongchungang, Mihochun, Naesungchun - using the method from previous paper 'The Evaluation of River Naturalness for Habitat Restoration : I. Proposal of Evaluation Method'. As a result, Hongchungang and Naesungchun, Mihochun showed 2$^{nd}$ Grades with averaged point 1.92, 1.43, and 2.31. Also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river naturalness shows a little relation with coefficient of correlation 0.575. This result means that the evaluation of river naturalness can be possibly used as index to evaluate river ecology, from a different standpoint with water quality.oint with water quality.

본 연구에서는 홍천강, 미호천, 내성천을 평가 대상하천으로 선정하여, '하천의 생물서식처 복원을 위한 하천 자연도평가 : I. 평가방법의 제안'에 따라 하천자연도평가를 시행하였다. 하천자연도의 종합평가결과 홍천강은 2등급(평균 1.92), 미호천은 2등급(평균 1.43), 내성천은 2등급(평균 2.31)으로 평가되었다. 수질과 하천자연도평가의 상관관계를 비교ㆍ분석한 결과, 수질과 하천자연도 종합평가결과의 상관계수가 0.575로 상관성이 매우 작게 분석되어, 하천자연도평가가 수질평가와 다른 관점에서 하천의 생태계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찬, 박익수 (1999). '생태환경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조경학회, Vol. 17, No. 3, pp. 123-134
  2. 박영철, 신영철, 서애숙 (2002). 'GIS를 이용한 하천의 자연성 평가 : 청주시 무심천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5권, 제1호, pp. 48-57
  3. 박원지, 마호섭 (2003). '양재천의 식행현황과 하천자연도 평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농업과학생명연구, 제37권, 제2호, pp. 57-70
  4. 배연재, 원두희, 이웅재, 승현우 (2003). '하천생태계에 대한 환경평가 기법과 생물다양성 관리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제21권, 제3호, pp. 223-233
  5. 정성채, 이상석 (1998). '중.소도시 하천의 친환경적 활용 잠재력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한국조경학회, Vol. 26, No.1, pp. 96-112
  6. 조용현 (1997a).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방법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7. 조용현 (1997b). '우리나라 중소하천 코리도의 자연성 평가기법연구.' 한국조경학회지, Vol. 25, No. 2, pp. 73-81
  8. 建設者東北地建設局 (1994). 東北の自然豊かな川づくり-近自然化河道改修計劃檢討マニコァル
  9. Barbour, M.T., J. Gerristen, B.D. Synder,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Second Edition. EPA 841-B-99-00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10. Prichard, D., H. Barrett, J. Cagney, R. Clark, J. Fogg. K. Gebhart, P.L. Hansen, B. Mitchell, D. Tippy. (1998). 'Riparian Area Management: Process for Assessing Proper Functioning Condition. TR 1737-9 (Revised 1998)'. Bureau of Land Management, BLM/SC/ST-93/003+1737+REV95+REV98, Service Center, CO. 51
  11. USDA (1998).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al. National Water and Climat Center Technical Note 99-1
  12. Ward, T.A., Tate, K.W., Atwill, E.R. Lile, D.F., Lancaster, D.L., MacDougald, N., Barry, S., Ingram, R.S., Geroge, H.A., Jensen, W., Frost W.E., Phillips, R., Markegard, G.G., Larson, S. (2003). 'A Comparison of Three Visual Assessments for Riparian and Stream Health.'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M/A, pp. 83-88

Cited by

  1. Estimation for River Naturality in the Hwang River vol.22, pp.2, 2013, https://doi.org/10.5322/JESI.2013.22.2.195
  2. Distribution of Meiobenthic Arthropod Communities in the Hyporheic Zone of Nakdonggang vol.5, pp.1, 2016, https://doi.org/10.12651/JSR.2016.5.1.157
  3. An Adaptive Watershed Management Assessment Based on Watershed Investigation Data vol.55, pp.5, 2015, https://doi.org/10.1007/s00267-014-04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