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onent(mineral) difference of Phellinus linteus on cultured to timber

기주식물에 따른 목질진흙버섯의 일반성분(무기물) 함량변화 I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We investigated mineral difference from mushroom Phellinus linteus and Phellinus baumii on mulberry, oak and elm. ICP test, The major mineral components were K, Ca, and Fe, while Mg, Na, P, Cr, Mn, Cu and Zn were determined as micro mineral components. In case of P.linetus and P.baumii the component of K was shown as 699.0mg/100g and 630mg/100g, in oak, 340.7mg/100g and 314.6mg/100g in elm, and 311.6mg/100g and 311.6mg/100g in mulberry respectively. In Ca, mulberry fruiting body were shown about 2 times highest and expecially in case of Na was oak fruiting body were shown as 10 times highest as against the others sample groups. In micro mineral components, Zn component was shown very diffeence about sample groups. We concluded that the highest mineral component of K was shown in mushroom cultivated on oak of both P.linetus and P.baumii. As a results, mineral component has showed very difference on cultivated to timb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ineral component we concluded that Phellinus linteus and Phellinus baumii has mineral component different depending on timber.

두 종류의 목질진흙버섯인 P. linteus와 P. baumii를 뽕나무, 참나무, 느릅나무등 3가지의 기주식물에서 자실체를 발생시켜 무기물의 함량을 ICP 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균주 및 기주식물에 따라 무기물의 커다란 함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다량 함유 무기물중 K은 두 균주 모두 가장 많은 무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참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K의 함량이 두배 정도 높았고 Ca은 뽕나무의 함량이 특히 높았다. Fe은 특히 느릅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Fe 함량이 월등히 적게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량 함유 무기물은 Na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결과를 확인하여 두 균주 모두 참나무에서 재배된 자실체의 Na 함량이 10배나 크게 함유되었다. 또한 P. linteus의 무기물 함량 특징은 극미량 원소중 Zn가 원목에 따른 함량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Mn의 함량 또한 참나무 재배 자실체에서 3배 정도 높게 함유되었다. 그리고 무기물만의 함량으로 P. linteus와 P. baumii를 구별하는데 Zn의 함량을 측정할 수는 있으나 Zn 만으로는 판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수 있으나 형태적으로 P. linteus와 P. baumii의 자실체의 모양이 차이가 뚜렷한 차이를 보여 무기물의 함량을 측정하며 P. linteus와 P. baumii가 어떤 원목에서 재배되었는가를 판정할수 있는 자료로 연구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