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목적 : 좌각차단이나 우심실조율박동과 같은 부정맥을 가진 환자들에서 심근관류는 의미있게 변화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비정상적인 심근관류는 심실조기흥분에 의해서도 야기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위치 범위 강도와 부전도로와의 관계는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WPW 증후군 환자에서 부전도로의 위치와 SPECT상에서 관류양상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WPW 증후군 환자 11명에 대해 Adenosine 99m-Tc MIBI 또는 Tl-201 심근관류 SPECT를 시행하였다, 관류결손은 Fitzpatrick's algorithm을 기초로 한 심전도 또는 전기생리학적검사 및 전극도자 절제술을 이용한 부전도로의 위치와 비교하였다. 결과: 11명의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9.9{\pm}8.6$세 였고, 비특이적인 흉통을 호소하거나, 증상이 없었다. 11명 모두 관삳동맥의 위험도에 관한 계산도표를 이용하여 관상동맥질환의 확률을 예측했으나 0.1 이하로 위험도가 낮았고 이중 4명은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한 결과 3명은 정상이었고 1명은 관동맥 협착 (50%) 부위의 심근혈류가 정상이었다. 4명의 환자에서 전기생리학적검사 및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9명의 가역적 그리고 1명의 비가역적 관류결손이 관찰되었고. 범위는 소에서 대까지 강도는 경도에서 중등도까지 나왔다. 부전도로의 위치가 우외측인 1명은 관류결손이 없었으나, 그 외의 환자들은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부전도로의 위치가 좌외측인 환자중 1명에 대해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6주후에 SPECT를 한 결과 시술 전에 있던 관류결손의 범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WPW환자에서 심근관류결손은 다양한 범위, 강도 및 위치를 가진다. 거의 대부분의 환자에서 비정상적인 관류결손이 나타났으나, SPECT 소견으로 부전도로의 위치를 특이적으로 예측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므로 WPW증후군 환자에서 심근관류 SPECT의 결과를 주의 깊게 해석해야 한다.
Purpose: Abnormal myocardial perfusion may be caused by ventricular preexcitation, but its location, extent, severity and correlation with accessory pathway (AP) are not established. We evaluated perfusion patterns on myocardial perfusion SPECT and location of AP in patients with WPW (Wolff-Parkinson-White)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Adenosine Tc-99m MIBI or Tl-201 myocardial perfusion SPECT was performed in 11 patients with WPW syndrome. Perfusion defects (PD) were compared to AP location based on ECG with Fitzpatrick's algorithm or electrophysiologic study and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Results: Patients had atypical chest discomfort or no symptom.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CAD) was below 0.1 in 11 patients using the nomogram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CAD. Coronary angiography was performed in 4 patients (mid-LAD 50% in one, normal in others). In 4 patients, AP localization was done by electrophysiologic study and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RFCA). Small to large extent ($11.0{\pm}8.5%$, range:$3{\sim}35%$) and mild to moderate severity ($-71{\pm}42.7%$, range:$-2l7{\sim}-39%$) of reversible (n=9) or fixed (n=1) perfusion defects were noted. One patient with right free wall (right lateral) AP showed normal. PD locations were variable following the location of AP. One patient with left lateral wall AP was followed 6 weeks after RFCA and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PD on SPECT with successful ablation. Conclusion: Myocardial perfusion defect showed variable extent, severity and location in patients with WPW syndrome. Abnormal perfusion defect showed in most of all patients, but it did not seem to be correlated specifically with location of accessory pathway and coronary artery disease. Therefore myocardial perfusion SPECT should be interpreted carefully in patients with WPW syndr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