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ystem for the Mobile electronic account

모바일 기반의 디지털콘텐츠 사례 전자장부시스템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Mobile service is able to offer the elastic service to anyone regardless of the place and the tin. With this characteristics, the ubiquitous service could be also provided even to the place which the access was limited with the existing line service, which could improve the mutual connection and could result in the service extension Mobile communication companies, which realized the limit of sale only by telephone conversation, have made an effort to develop wireless internet with concentration as its alternation. Especially concentrating their effort both to the development of distinctive and various contents and to tin development of system for mobile service such as the mobile banking, mobile game and etc., they have done their best to secure the number of the people using the wireless internet.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electronic account system based on the mobile as a case study of contents production for such a mobile service. This system has its advantage to perform the financial management immediately when the income and outcome happen without limitation of the time and space. The information could be stored, searched and modified by using of the mobile phone for this system was made up for the weak point of the financial management for wired internet.

모바일 서비스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기존의 유선 서비스로는 접근이 제한되는 곳까지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의 확대와 함께 상호 연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음성 통화료만으로 매출의 한계를 절감한 이동통신사들은 무선인터넷을 대안으로 보고 이를 집중 육성하였다. 특히 모바일뱅킹, 모바일 게임 등 각종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다양하고 차별화된 콘텐츠개발에 주력하여 무선인터넷 이용자의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제작의 한 사례로서 모바일 기반의 전자장부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유선 인터넷으로 금전관리를 하였을 때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서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료를 입력하고 검색 또는 수정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어 공간과 시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지출과 수입이 일어난 시점에서 즉시 금전관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