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Effects of packaging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and shelf life of mungbean sprouts(vigna radiata (L.) Wilczek) were studied Mungbean sprouts were packaged in polypropylene films(PP) and oriented polypropylene films(OPP) with 200 g, 250 g, and 300 g and stored at $4^{\circ}C,\;8^{\circ}C$ and $12^{\circ}C$, respectively. The deterioration of quality of mungbean sprouts during storage was caused by wilting of hypocotyl, abscission of cotyledon and softening of tissue. Total weight loss never exceeded $1\%$ and no visible signs of shrivelling of mungbean sprouts were observed. At $4^{\circ}C,\;30{\mu}m$ of OPP film per 250 g mungbean sprouts provided the optimal atmosphere composition(i.e. $3\%\;\O_2\;and\;5\%\;CO_2$). A shelf life of 6 days was achieved with these conditions. Hardness of hypocotyl, when deterioration in freshness began, was about 1,027.2 g when considerably deteriorated Hunter b value was 13 in deteriorated hypocotyl, vs. 11 for hypocotyl of fresh mungbean sprouts was accelerated by fluctuating storage temperature by the increment of storage time. It also was found that the optimum shelf life period was estimated to be 6, 2 and 2 days for 4, 8 and $12^{\circ}C$, respectively.
숙주나물의 선도유지를 위해 포장필름(PP, OPP), 포장무게(200, 250, 300 g) 그리고 저장온도(4, 8, $12^{\circ}C$)를 달리하여 밀봉 포장한 후 저장기간 동안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포장내 기체조성은 포장무게에 관계없이 PP필름과OPP필름으로 포장한 시험구에서 $O_2$ 및 $CO_2$농도가 차이를 보였으며, PP밀봉포장은 저장온도와 포장무게에 관계없이 $1\%$정도의 $O_2$농도를 보였으며, $CO_2$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높았다. 중량 감소율의 경우 $12^{\circ}C$에서는 $0.7\~1.1\%,\;8^{\circ}C$에서는 $0.3\~0.7\%,\;4^{\circ}C$에서는 $0.1\~0.4\%$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저장기간 동안 전체적으론 $1\%$ 내외의 중량감소를 보였다. 숙주나물의 경도는 저장2일부터 낮아졌다가 4일 이후 경도 값이 높아졌는데,수분탈수와 함께 조직이 연화되어 섬유소가 강하게 생겨 질겨진 상태이고, 비타민 C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배축부의 유회백색과 자엽의 황색이 유지되었고, 숙주나물에 있어서는 배축부의 선도유지성은 큰 차이가 없고, 저장 기간동안 자엽이 황색화가 진행되면서 부패되어 짙은 갈색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이것으로 신선도의 척도로 판정될 수 있다. 일반 냉장 유통되고 있는 숙주나물의 유통기한은 3일인데 반해, $4^{\circ}C$ 냉장온도에서 두께 $30{\mu}m$ OPP필름으로 250 g 포장하여 저장하면 6일까지 신선도를 유지하여 상품판매 가능하였고, 이 때 감소율은 $0.22\%$정도의 중량감소를 보였으며, 포장내 가스조성은 $CO_2$ 농도가 $5.0\%,\;O_2$ 농도가 $3.0\%$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