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chthyofauna in Lake Cheongpyeong Korea

청평호의 어류군집

  • 김치홍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생태연구소) ;
  • 이완옥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생태연구소) ;
  • 이종관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생태연구소) ;
  • 홍관의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생태연구소)
  • Received : 2005.04.05
  • Accepted : 2005.06.05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e ichthyofauna of Lake Cheongpyeong was investigated from April 2003 to November 2004. During the surveyed period 31 species belonging to nine families were collected. Dominant species in numbers was Hemibarbus labeo (relative abundance: 29.9%), subdominant was Acanthorhodeus gracilis (22.8%). Erythroculter erythropterus (14.6%) and Cyprinus auratus (6.3%) were also numerous. There were nine Korean endemic species belonging to three families, including Acheilgnathus yamatsutae. We need close observation on population fluctuations of Micropterus salmoides, an exotic carnivorous fish from North America, and Hemibarbus labeo and Erythroculter erythropterus, the dominant species by biomass in Lake Cheongpyeong.

2003년 4월에서 2004년 11월까지 청평호에서 시기별로 9회에 걸쳐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채집된 어류는 모두 9과 31종으로 분류되었다. Cyprinidae 어류가 21종 (67.7%)으로 상대 비율이 높았고 H. labeo (29.9%)가 조사수역 내의 우점종이었으며, A. gracilis (22.8%)가 아우점종, 다음으로는 E. erythropterus (14.6%), C. auratus (6.3%) 순으로 우세하였다. 한반도 고유종의 구성비는 29.0%로 A. yamatsutae 등 3과 9종이 서식하였다. 외래도입 육식어종인 M. salmoides는 총 개체수의 1.7%가 출현하여 장차 개체군의 증감 여부가 주목된다. H. labeo 와 E. erythropterus는 청평호에서 생체량이 가장 많은 어종으로 1년생 보다는 2~4년생이 주로 서식하였으며 개체군의 변동추세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립수산과학원

References

  1.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John Wiely & Sons, New York. 600 pp
  2. Okada, Y. 1960. Studies on the fresh water fishes of Japan. J. Fac., Fish. Pref. Univ. Mie, 4 : 1-860
  3. Pielou, E.C. 199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 J. Theort. Biol., 13 : 131-144
  4.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5.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6. 김익수. 1996. 댐저수지의 외래어종 분포 및 영향에 관한 연구(섬진강댐). 한국수자원공사, pp. 139-150
  7.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부 629 pp
  8. 김익수.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465 pp
  9. 남명모. 1997a. 가평천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0(4) : 357-366
  10. 남명모. 1997b. 조종천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0(4) : 367-375
  11. 변화근.이완옥.김동섭. 2004. 영천호의 어류상과 어류 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6(3) : 234-240
  12. 변화근.전상린.김도한. 1997 소양호의 어류상과 어류 군집. 한국육수학회지, 30(4) : 325-335
  13. 손영목.송호복.변화근.최재석. 1997. 팔당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9(1) : 141-152
  14. 양홍준.채병수.황수옥. 1997a. 임하댐유역의 어류상과 어류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0(2) : 145-154
  15. 양홍준.채병수.남명모. 1997b. 안동댐유역의 어류상과 어류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0(4) : 347-356
  16. 이충렬.김용호. 2002. 진양호 일대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4(3) : 173-182
  17. 최기철. 1971. 춘천호.의암호 및 아침못의 어류 동태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4 : 43-62
  18. 최기철. 1986. 경기의 자연 (담수어편). 경기도 교육위원회. pp. 160-165
  19. 최신석.송호복.황수옥. 1997. 대청호의 어류군집 한국육수학회지, 30(2) : 155-166
  20. 최재석.이광열.장영수.고명훈.권오길.김범철. 2003. 소양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15(2) : 95-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