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동기 아동의 Orthostatic Dysregulation의 유병률과 임상증상의 빈도에 대한 연구

Prevalence of Orthostatic Dysregul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Frequency of Individual Symptoms

  • 양은석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은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문경래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상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영봉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노영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Yang, Eun Seo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Kim, Eu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Moon, Kyoung-Ra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Park, Sang K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Park, Young B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Rho, Young I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투고 : 2004.08.21
  • 심사 : 2004.10.14
  • 발행 : 2005.02.15

초록

목 적 : 자율신경계 기능 장애로 생각되는 OD는 소아에서 성적저하와 만성피로, 식욕저하, 수면장애, 일상생활의 장애와 같은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에 어지러움과 실신 등의 OD 증상 때문에 병원을 찾는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여자에서 남자보다 더 많은 환자를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아동에서 OD 유병률과 진단 기준이 되는 각각의 주증상과 부증상의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광주시내 2개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1,000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으로 보호자와 함께 응답하도록 설문조사 하였고, 수거되지 않거나 답변이 미비한 275명을 제외한 7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OD의 진단은 Okuni와 Oshima의 진단 기준에 따라 주증상과 부증상의 조합으로 하였는데 주증상 한 개에 부증상 3개 이상이거나, 주증상 2개에 부증상 1개 이상, 주증상 3개 이상인 경우 OD 로 진단하였다. 대상의 아동에서 OD의 주증상과 부증상의 빈도와 OD의 나이, 성별, 빈도와 OD로 진단된 대상아의 주증상과 부증상의 빈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대상 아동에서 주증상의 빈도는 '운동을 하면 심하게 가슴이 두근거린 적이 있다가' 68.6%로 가장 높았으며, 부증상의 빈도는 '두통을 경험한 적이 있다가' 58.3%로 가장 높았다. OD로 진단된 아이는 53.5%(388명)이었고, 남자 59.2%, 여자 46.8%로 남자가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높았다(P<0.05). OD로 진단된 아이의 주증상의 빈도는 '운동을 하면 심하게 가슴이 두근거린 적이 있다가' 95.9%로 가장 높았으며, 부증상의 빈도는 '두통을 경험한 적이 있다' 85.8%로 가장 높았다. 결 론 : 우리의 연구에서 OD로 진단된 아이는 53.5%(388명)로 다른 보고에 비해 다소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었는데 오히려 남자에서 여자보다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OD를 좀더 정확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위해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진단 기준에 대한 재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ccess the prevalence of orthostatic dysregulation(OD) and the frequency of each category for major and minor criteria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OD questionnaire. Methods : We carried out inquiry by questionnaire as to the frequency of OD among two elementary schools with 725 students, 10 to 12 years of age, residing in Gwangju, Korea. The questionnaire was made according to criteria proposed by the Japan OD Study Group. Results : Of the 725 students(male 390; female 335) questioned, the OD was found in 338 students (53.5 percent). Prevalence of OD in males(59.2 perc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females(46.8 percent)(P<0.05). Palpitation with slight exercise(95.9 percent) was the most frequent major symptom. Headaches(85.8 percent) were the most frequent minor symptom among cases of OD.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O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53.5 percent) was higher than in other studies. Contrary to studies from other countrie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reversed. Because the diagnostic criteria seem to be dependent on subjective reporting of the symptoms, a newer diagnostic system based on more objective findings should be established.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조선대학교

참고문헌

  1. Nozawa I, Hisamastu K, Imamura S, Fujimori I, Nakayama H, Murakami Y. Study on orthostatic dysregulation and the Schellong test in healthy young females. J Otorhinolaryngol Relat Spec 1996;58:110-4 https://doi.org/10.1159/000276809
  2. Okuni M, Oshima M. Diagnosis and therapy in orthostatic dysregulation in children. Shonika-shinryo 1958;21:1390-6
  3. Fukushige J, Tsuchihashi K, Harada T, Ueda K. Orthostatic dysregulation, an important threat and a main concern among Japanese low-teenagers. Fukuoka Acta Med 1988; 79:106-10
  4. Nozawa I, Imamura S, Fujimori I, Hashimoto K, Nakayama H, Hisamatsu K,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matic factors and orthostatic dysregulation in young men. Clin Otolaryngol 1997;22:135-8 https://doi.org/10.1046/j.1365-2273.1997.00876.x
  5. Okuni M. Orthostatic dysregulation in childhood. J Korean Pediatr Soc 1977;20:26-8
  6. Hayakawa T, Hayakawa S. Dizziness in children. Jpn Med J 1987:31-4
  7. Lee CH, Park HM, Lee BH, Kim YH, Rhee CK. Clinical analysis of childhood vertigo. J Korean Child Neurol Soc 2001;9:362-7
  8. Tanimura M, Honda K, Nose T, Tanaka K, Yoshida N. Reproducibility of the orthostatic responses and orthostatic dysregulation complaints in Japanese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Jpn Circ J 1977;41:287-98 https://doi.org/10.1253/jcj.41.287
  9. Torigoe K, Numata O, Ogawa Y, Kaneko U, Usuda T, Imamura M, et al. Contingent negative variation in children with orthostatic dysregulation. Pediatr Int 2001;43:469-77 https://doi.org/10.1046/j.1442-200X.2001.01439.x
  10. Nozawa I, Hisamatsu K, Imamura S, Fujimori I, Nakayama H, Murakami Y. Psychosomatic aspects of healthy young women with orthostatic dysregulation. Clin Otolaryngol 1996;21:222-5 https://doi.org/10.1111/j.1365-2273.1996.tb01729.x
  11. Kitamura Y, Mijao M, Kuriyama I. On the remote prognosis in orthostatic dysregulation in children. Clinical Report 1968;9:45-8
  12. Harada T, Hattori T, Fukushige J, Goya N. Clinical experience of Dihydroergotamine on OD Jap J Clin Exp Med 1982;59:9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