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s in Obesity in a Rural Korean Adults (1990~1999)

한 농촌 지역 성인들의 10년 간 비만도 변화(1990~1999)

  • Kim, Yu-Mi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Quan, Zhen-Y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Mi-Ky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Choi, Bo-You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김유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전정옥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미경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최보율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Objectives: The worldwide epidemic of obesity is reporting but also in Korea. But there are few studies reporting with a community-based longitudinal data in Korea. This issues objects to measure the prevalence and evaluate the trends of overweight based on the repeated cross-sectional studies at a rural community adults during 10 years. Methods: With 1990~1999 Yang-Pyeong Cohort Baseline Survey Dataset, BMI is calculated and Overweight i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overweight in adult by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Results and Conclusions: Crude BMI means at 1990 is estimated to $22.0Kg/m^2$ and at 1999, $24.4Kg/m^2$(p for trend<0.0001). Trends of age adjusted BMI has borderline significant, but that of Age and Sex adjusted BMI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 for trend=0.039). In male population the change of the overweight prevalence from 1990 to 1999 is 35%, and in female population the change is 21.9%(Z=0.55). Female has more increased prevalence than male, but the change is more dominant in male than in female. At a rural community, obesity has markedly been increasing during the past decade and female in a rural community has higher prevalence of overweight.

이 연구는 경기도 한 농촌지역 주민 1,663명을 대상으로 10년 간의 6차례 조사를 시행하여 체질량지수와 과체중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체질량지수는 성별과 연령을 보정한 후에도 조사 시기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체중 이상의 유병률도 각 연령군 내에서 시기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는 여자에게서 뚜렷하였다. 연령별 층화한 과체중의 유병률은 남자에게서 40대와 50대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증가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여자에게서는 40대, 50대, 60대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남자와 여자 모두 1990년에서 1999년까지의 증가폭은 4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남자의 전체 증가폭이 여자의 경우 보다 높았으나 여자의 과체중 유병률이 더욱 높았다. 전체 인구의 1990년에서 1999년까지의 과체중 유병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34.1%에서 63.9%로 29.8%의 증가폭을 보였으며 시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한 증가의 경향을 보였다. 농촌 지역 남자의 체질량지수와 과체중의 유병률은 다른 집단과 비슷한 양상을 띄었으나 여자에게서 유병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양대학교

References

  1. Robert H. Eckel, Scott M. Grundy, Paul Z. Zimmet. The Metabolic Syndrome. Lancet 2005: 365: 1415-1428 https://doi.org/10.1016/S0140-6736(05)66378-7
  2. Hubert HB, Feinleib M, McNamara PM, Castelli WP. Obesity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26-year follow up of participant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1983: 67: 968-977 https://doi.org/10.1161/01.CIR.67.5.968
  3. Alexander JK. Obesity and coronary heart disease. Am J Med Sci 2001: 321: 215-24 https://doi.org/10.1097/00000441-200104000-00002
  4.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연보. 2004
  5. 정백근, 문옥륜, 김남순, 강재헌, 윤태호, 이상이, 이신재. 한국인 성인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예방의학회지 2002; 35: 1-12
  6. Katherine M. Flegal, Margaret D. Carroll, Cynthia L. Ogden, Clifford L. Johnson.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US Adults, 1999-2000. JAMA 2002; 288: 1723-1727 https://doi.org/10.1001/jama.288.14.1723
  7. Rodriguez Artalejo F, Lopez Garcia E, Gutierrez-Fisac JL, Banegas Banegas JR, Lafuente Urdinguio PJ, Dominguez Rojas V.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and Their Risk Factors in Spain, 1987-1997. Preventive Medicine 2002: 34: 72-81 https://doi.org/10.1006/pmed.2001.0962
  8. Galobardes B, Costanza MC, Bernstein MS, Delhumeau CH, Morabia A. Trends in the Risk Factors for the Major 'Lifestyle-related Diseases' in Geneva, Switzerland, 1993-2000. Ann Epidemiol 2003: 13: 537-540 https://doi.org/10.1016/S1047-2797(03)00055-3
  9. Kain J, Vio F, Albala C. Obesity Trends and determinant factors in Latin America. Cad. Saude Publica. 2003: 19(51): 77-86 https://doi.org/10.1590/S0102-311X2003000700009
  10. 보건복지부. 1998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 총괄보고서. 1999
  11. 김남순, 강재헌. 한국의 비만 추이. 대한비만학회지 2002; 11: 329-336
  12. Grundy SM. Multifactorial causation of Obesity: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m J Clin Nutr 1998; 67: 8563-8572
  13. 이중호, 송찬희, 염근상, 김경수, 남순우, 한준열, 정규원, 선희식. 연령에 따른 체질량 지수와 체지방량의 분포. 가정의학회지 2003; 24: 1010-1016
  14. 탁양주, 이영성, 이진석, 강재헌. 최근 국내 비만 연구의 경향: 1984년부터 2002년까지. 대한비만학회지 2004: 13: 1-13
  15. 강재헌. 한국인의 건강체중 평가 기준-비만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1: 6: 397-401
  16. Curtis NA. Are Histograms Giving You Fits? New SAS Software for Analyzing Distribution. SAS Institute Inc. NC
  17. Cody RP. Applied Statistics and the SAS Programming Language. 5th Ed. Pearson Education Inc, 2004
  18. 김남순, 문옥륜, 강재헌, 이상이, 정백근, 이신재, 윤태호, 황경화. 한국인의 비만도에 따른 비만관련질환의 유병률 증가. 예방의학회지 2001; 34: 309-315
  19. Niedhammer I, Bugel I, Bonenfant S, Goldberg M, Leclerc A. Validity of Self-Reported Weight and Height in the French GAZEL Cohort. Int J Obes 2000; 24: 1111-1118 https://doi.org/10.1038/sj.ijo.0801375
  20. 하헌영, 최보율, 박항배. 비만지표와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간의 상관성 및 복부지만 지표의 유용성. 예방의학회지 1997; 30: 327-41
  21. 나백주, 박경수, 임정수, 선병환, 남해성, 손석준, 박경수, 엄정수. 한 농촌지역 주민의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 평가. 한국농촌의학회지 1998: 23(2); 193-203
  22. 김현아, 김현덕, 남기선. 농촌 성인 여성의 비만도와 혈청지질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영양학회지 1997: 2: 319-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