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s of Takifugu pardalis (Teleostei: Tetraodontodae)

졸복 (Takifugu pardalis) 자치어의 골격발달

  • Han, Kyeong-Ho (Division of Aqua Life Science, Yeosu National University) ;
  • Cho, Jae-Kwon (South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of NFRDI) ;
  • Lee, Sung-Han (Division of Aqua Life Science, Yeosu National University) ;
  • Hwang, Seon-Yeong (Division of Aqua Life Science, Yeosu National University) ;
  • Yoon, Seung-Min (Division of Aqua Life Science, Yeosu National University) ;
  • Seo, Won-II (Division of Aqua Life Science, Yeosu National University) ;
  • Kim, Chun-Chel (Division of Aqua Life Science, Yeosu National University)
  • 한경호 (여수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
  • 조재권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이성훈 (여수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
  • 황선영 (여수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
  • 윤성민 (여수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
  • 서원일 (여수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
  • 김춘철 (여수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 Received : 2004.12.05
  • Accepted : 2005.02.25
  • Published : 2005.03.31

Abstract

Fertilized eggs of Takifugu pardalis (Temminck et Schlegel) were collected on the coast of Jook-do in Tongyong, Korea, from March 1997 to June 1999, and hatched and reared in the laboratory to investigate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e and juveniles. The newly hatched larvae attained a mean of $3.13{\pm}0.05mm$ in total length (TL). Ossification first began in the parasphenoid, premaxillary and dentary. At 5 days after hatching, the postlarvae attained a mean of $3.82{\pm}0.03mm$ in TL, and their sphenotic, prefrontal, preopercle, opercle, maxillary, and articular were ossified. At 15 days, the postlarvae attained a mean of $7.84{\pm}0.06mm$ in TL, their nasal and posttemporal bones were ossified and the hyoid arch completed ossification. Ossification of all bones was completed in the juveniles (mean = $10.21{\pm}0.06mm$ in TL) at 21 days.

1997년 3월부터 1999년 6월까지 경상남도 통영 죽도 연안에서 채집된 친어로 부터 인공수정 하여 부화된 자치어를 사육하면서 관찰한 자치어의 골격발달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부화 후 1일째의 평균 전장은 $3.13{\pm}0.05mm$로 두개골에 부설골, 섭이와 관련하는 악골에 전상악골과 치골이 가장 먼저 골화가 시작되었다. 부화 후 5일째 자어의 평균 전장은 $3.82{\pm}0.03mm$로 두개부에 설이골 (sphonotic) 및 전액골 (prefrontal)이 골화되었고, 새개부에 전새개골 (preopercle), 주새개골 (opercle)이 골화되었으며, 악골에 주상악골(maxillary), 관절골(articular)이 골화되었다. 부화 후 15일째 개체의 평균 전장은 $7.84{\pm}0.06mm$로 두개골에 비골이 골화되었고, 내장골의 설궁부 골격이 완성되었으며, 견대부에 두개골과 연결하는 후측 두골이 골화되었다. 부화 후 21일째 치어는 평균 전장이 $10.21{\pm}0.06mm$로 두개골에 상이골, 상후두골, 익상골 및 방골이 골화되어 두개골과 내장골이 완성되었고, 척추가 정수에 달하고, 미골이 완성되었으며, 오훼골이 골화되어 견대부의 골화가 완성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Itazawa, Y. 1963. The ossification sequences of the verte­bral column in the Carp and Snake-head fish. Bull. Jap. Soc. Sci Fish. 29(7) : 667-674 https://doi.org/10.2331/suisan.29.667
  2. Kawamura, K. and K. Hosoya, 1991. A modified double staining technique for making a transparent fish­skeletal specimen. Bull. Nat'l. Res. Inst., Aquaculture, 20 : 11-18
  3. Kohno, H., Y. Taki, Y. Ogasawara, Y. Shirojo. M. Taketomi and M. Inoue. 1983. Development of swimming and feeding function in larvel Pagrus major. Japan J. Ichthyol. 30(1) : 47-60
  4. Mook, D. 1977. Larvae and osteological development of sheep-head. Archosgus probatocephalus. Copeia. 1 : 126-133
  5. Takashima, F. 1976. Artmailes un hatchery reared ayu, Plecoglossus altivelis II. Malformation of the skeleton in the larvae. J. Tokyo Univ. Fish, 62(2) : 99-112. (in Japanese)
  6. 김용억.한경호.1989a. 한국 근해 병어류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1. 병어류의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25(5) : 241-265
  7. 김용억.한경호. 1989b. 해산동물의 초기생활사에 관한 연구. 1. 미끈날망둑, Chaenogobius laevis의 난발생과 자치어. 한국수산학회지, 22(5) : 317-331
  8. 김용억.명정구.김영섭.한경호.강충배.김진구. 2001. 한국해산어류도감. 도서출판 한글, 382 pp
  9. 명정구.김용억. 1984.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의 자치어기의 형태, 부산수대 연구보고, 24(1) : 1-22
  10. 박애전.김용억. 1991. 자주복, Takifugu rubripes 자치어의 내부골격발달과 성장. 한국어류학회지, 3(2) : 120-129
  11. 오성현.한경호.김용민.정현호.신상수.김용억. 2000. 복 섬 (Takifugu niphobles)의 산란습성 및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12(4) : 236-243
  12. 유재명.김용억. 1985. 흰베도라치 치자어기의 형태 및 골격에 관한 연구. 부산수대 연구보고, 25(2) : 29-48
  13. 이병돈.김용억. 1969. 한국산 주요 해산어류의 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1. 자주복의 난 발생과 자어의 성장에 대하여. 부수대임해연보, 2: 1-11
  14. 장선일.강희웅.한형균.1996. 황복의 난발생과 자치어 발달. 한국양식학회지, 9(1) : 11-18
  15.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 pp
  16. 한경호. 1995. 참복과(복어목) 어류의 형태, 골격 및 계통분류학적 연구. 부산수대 박사학위논문, 205 pp
  17. 한경호.김용억,1989. 큰가시고기, Gasterosteus aculeatus의 산란행동, 난발생 및 자치어기의 형태. 부산수대연보, 29 (1-2) : 11-36
  18. 한경호.김용억, 1998a. 참복과(복어目) 어류 속의 외부형태적 특징. 한국수산학회지, 31(3) : 309-316
  19. 한경호.김용억,1998b. 참복과(복어目) 어류 속별 척추골과 담기골 특징. 한국수산학회지, 31(5) : 645-653
  20. 한경 호.김용억.1998c.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초기 생활사, 2. 자치어의 골격발달. 여수대학교 논문집,13(2) : 1047-1056
  21. 한경호.김용억. 1998d. 한국산 참복속 (참복과)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여수대학교 논문집, 12(2) : 563-589
  22. 한경호.오성현.서원일. 2003. 복섬 (Takifugu niphobles) 자치어의 골격발달. 한국어류학회지, 15(3) : 193-199
  23. 한경호.조재권.이성훈.황동식.유동재. 2001. 졸복, Takifugu pardalis (Temminck et Schlegel)의 산란습성 및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13(3) : 181-189
  24. 한경호.조재권. 2003. 졸복 (Takifugu pardalis) 자치어의 소화기관 형태발달. 여수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5: 119-125
  25. 渡部泰輔.服部茂昌. 1971. 魚類の發育段階の形態的區分と それらの生態的 特徵, さかな. 7:54-59
  26. 沖山宗雄. 1979a. 稚魚分類學入門 1. 稚魚の廷議ど型分は. 海洋と生物, 1(1) : 54-59
  27. 沖山宗雄. 1979b. 稚魚分類學入門 2. 幼期形態の讀みガた. 海洋と生物, 1(2) : 5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