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 of Groundwater Quality to Land Use on Ulsan Urban area

토지이용도별 울산지역 지하수의 수질특성

  • Im, Hyun-Chul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임현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216 groundwater samples for inorganic constituents and 168 samples for VOCs in the Ulsan urban ares and analyzed to relate groundwater chemistry to four land use zones, residence․commercial, industrial, agricultural, and forestry. In general, Na and Cl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were high in residence․commercial zone near Taehwa river due to residual saline. Although NO3 contents is high in agricultural zone and VOCs content is high in industrial zone, it seems difficult to relate groundwater pollution to land use zone. Even though groundwater pollution of the area is still low, continuous monitoring is necessary because the city is expanding.

울산 도시지역 지하수의 수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16개의 일반 수질분석과 168개의 VOCs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주거․상업지역, 공업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으로 구분하여 토지이용과 지하수 수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보아서 남구 태화강 저지대 일대 주거․상업지역 지하수에서 과거 해수의 영향에 의해서 Na와 Cl의 함량이 높다. NO3는 농업지역, VOCs는 공업지역 지하수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기도 하지만, 토지용도별 지하수의 수질오염 특성 구분은 어렵다. 아직까지 연구지역 지하수의 오염은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나, 도시화가 계속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계속적인 관찰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1, 지하수조사 연보
  2. 김무진, 함세영, 류상민, 정재열, 2002, 창원지역 토지이용에 따른 지하수 수질특성, 한국지구과학 춘계학술발표회, 77
  3. 성익환, 조병욱, 김석중, 김형찬, 성기성, 윤욱, 이병대, 이봉주,이춘오, 전치완, 지세정, 김상연, 김통권, 류충렬, 송경선, 음철현, 이병태, 이종철, 임현철, 이정화, 최병인, 2003, 도시지역 지하수오염 저감기술 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R-03-07
  4. 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2002, 급수현황
  5. 윤욱, 조병욱, 2004, 토지이용에 따른 울산지역 지하수의 VOCs 함량특성, 자원환경지질, V.37, N. 6, 613-629
  6. 정찬호, 김은지, 2001, 대전광역시 지하수의 수리화학 특성 및 오염에 대한 토지이용 형태 및 도시화의 영향, 지하수토양 추계학술발표회, 35-37
  7. 조병욱, 윤욱, 임현철, 성익환, 장우석, 2005, 울산지역 지하수, 하수, 하천수의 VOCs 오염특성, 자원환경지질, V 38, N.1, 57-65
  8. 조병욱, 이병대, 윤욱, 임현철, 지하수의 Br:Cl 함량비를 이용한 울산지역 해수침입 연구, 2003, 자원환경지질, v36 n.5, 339-347
  9. 환경부, 2002, 2001 상수도 통계
  10. CaneD., Helsel DR, Ragone SE, 1989, Preliminary evaluation of regional groundwater quality in relation to land use, Groundwater, v27, 230-244 https://doi.org/10.1111/j.1745-6584.1989.tb00444.x
  11. Eckhardt A. V and Stackelberg P. E, 1995, Relation of groundwater quality to landuse on Long Island, New York, Groundwater, V. 33, N. 6, 1019-1033 https://doi.org/10.1111/j.1745-6584.1995.tb00047.x
  12. Graniel C. E., Morris L. B., and Carrillo-Rivera, 1999, Effects of urbanization on groundwater resources of Merida, Yucatan,Mexico, Environmental Geology, v. 37, N.4, 303-312 https://doi.org/10.1007/s002540050388
  13. Grischek T., Nestler W., Pienchniczek D. Fischer T., 1996, Urban groundwater in Dresden, Germany, Hydrogeology Journal, v.4, N.1, 48-63 https://doi.org/10.1007/s100400050088
  14. Lemer D. N. and Tellam J. H., 1992, The protection of urban groundwater from pollution, Jpurnal of the Institution of Water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v. 6, no.2, 28-37 https://doi.org/10.1111/j.1747-6593.1992.tb00735.x
  15. Lemer D. N., 1990, Recharge due to urbanization, Hydrology J. 8, 201-214
  16. Trojan M.D., Maloney J. S., Stockinger J. M., E. P., and Lahtinen M. J., 2003, Effects pf land use on groundwater quality in the Anoka sand plain aquifer of Minnesota, Groundwater, V41, N 4, 482-492 https://doi.org/10.1111/j.1745-6584.2003.tb02382.x
  17. US EPA, 1992, 40 CFR 51.100, Federal Register: Control of air pollution